영세 동네슈퍼마켓이 변종 SSM(기업형 슈퍼마켓)으로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빚었던 상품공급점과 동일한 가격으로 물품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대기업 유통업체들이 변종 SSM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개별 슈퍼마켓이 아닌 슈퍼마켓 조합을 통해 상품을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동네슈퍼들로선 대기업과 공동으로 구매함으로써 상품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됐다. 중소 상인들은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고, 대기업 유통업체는 골목상권을 죽인다는 오명을 벗을 수 있게 됐다. 이마트에버리데이리테일, 롯데슈퍼 등 대기업 상품공급업체는 그제 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체인사업협동조합과 각각 도매사업에 관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대기업 유통업체들이 제조업 생산품을 개별 슈퍼마켓에 직접 공급하는 대신 슈퍼 조합에 공급하고, 지역 조합이 이를 다시 회원사 개별 점포에 판매하는 간접 공급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골자다. 슈퍼 조합 중심으로 상품공급 방식을 바꾼 것이다.
누리당 소장파 의원들이 당 지도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회선진화법' 개정 움직임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고 한다. 김세연 의원을 비롯한 15명은 지난 주말 기자회견을 열고 "선진화법에 대한 헌법소원이나 개정안은 실효성도 없을 뿐더러 본질을 잘못 진단한 처방"이라며 지도부의 극단적 정국운영을 비판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오죽했으면 이들이 공개적으로 반대의 목소리를 냈을까 싶을 정도다. 이쯤이면 적극성을 보이고 있는 여당의 국회선진화법 개정 움직임은 무리수가 아닐 수 없다고 하겠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회선진화법을 "소수에게 모든 권한을 주는 소수폭거법"으로 매도하면서 예산안처리 지연 등 국회의 불능상태를 그 탓으로 돌렸다. 하지만 국회 파행을 부른 여야의 극단 대치에는 집권여당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꼬인 정국을 풀기 위한 노력보다는 청와대 눈치나 살피며 사사건건 대결을 조장해 온 것 아닌가. 자신들의 정치력 부재에 대한 반성은 커녕 애꿎은 법안을 손보겠다는 건 한마디로 치졸하기 그지없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