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정부가 세법 개정을 통해 내년 상반기까지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을 확대키로 하자 삼성·현대·롯데카드 등 기업계 카드사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가 체크카드 소득공제 혜택을 늘리기로 했지만 삼성·현대·롯데카드 등 기업계 카드사들의 경우 체크카드 시장 점유율이 미미한 탓에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2014년 하반기와 2015년 상반기의 체크카드·현금영수증 본인 사용액이 2013년 사용분의 50%보다 증가한 경우 40%를 공제 받을 수 있게 된다. 소비 심리를 자극하기 위해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에 대한 소득공제율을 30%에서 40%로 높인 것이다. 기업계 카드사들의 체크카드 시장 점유율이 전체의 3%에도 못 미친다. 따라서 소득 공제 확대에 힘입어 체크카드 사용이 늘어나면 기업계 카드사들은 매출 및 수익 부진을 감수해야 한다. 지난 3월말 현재 삼성카드의 체크카드 점유율(이용액 기준)은 1.1%로 기업계 카드사 중 가장 높았고, 롯데(0.9%)·현대(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동안 삼성카드의 신용카드 시장점유율(이용액 기준)이 14.5%, 현대카드 13.3%, 롯데카드가 7.1%라는 것을 감안하면 체크카드 시장 점유율은 매우 초라한 수치다. 반면 체크카드 시장에서 가장 점유율이 높은 농협카드(23.1%)를 필두로 KB국민(20.0%)·신한(16.8%)·우리카드(14.6%) 등 은행계 카드사들은 체크카드 공제율 확대를 환영하고 있다. 기업계 카드사의 한 관계자는 "체크카드에 대한 세제혜택이 늘어날수록 기업계 카드사들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며 "체크카드 발급을 늘리기 위해 여러 방법을 고민하고 있지만 현금카드를 겸한다는 특징 때문에 은행계 카드사들과 경쟁이 상당히 버겁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