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국회 본회의를 열어 세월호 특별법을 처리하기로 한 오는 13일 전후가 국회 정상화를 결정지을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이번주에는 비리 의혹 등으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여야 의원들의 신병처리도 함께 걸려있어 어느 때보다 본회의 일정에 이목이 쏠린다.이완구 새누리당,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지난 7일 주례회동에서 세월호 특별법 등 주요 현안을 처리하기 위해 오는 13일 오전 본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13일 본회의에서는 세월호 특별법과 `세월호 침몰사고 피해학생의 대학입학지원에 관한 특례법`이 처리될 예정이다.당초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실시키로 했던 세월호 진상규명 국정조사 청문회가 무산됨에 따라, 오는 18일~21일로 청문회 일정을 변경하는 국정조사 계획서 변경·승인건도 13일 본회의 안건이다.아울러 여야는 13일 본회의 이후 곧바로 14일 8월 임시국회(328회 임시회) 소집요구서를 공동으로 제출키로 합의했다.여야가 이처럼 13일 본회의에 최대 현안들을 모두 미뤄놨으나,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우선 세월호 특별법 합의를 둘러싼 거센 후폭풍이 일고 있어 재협상 가능성까지 점쳐진다.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일부 초재선 의원들과 중진의원들이 특별법 재협상을 요구하고 나서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자마자 시험대에 올랐다.세월호 유가족들은 "특별법 협상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며 국회 본청 앞에서 농성을 이어가고 있고, 일부 대학생들은 박 비대위원장 지역 사무실과 여의도 새정치연합 당사를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상황이 이렇다보니 새정치연합 측에서 진상조사위원회가 특검 추천권을 갖도록 다시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새누리당은 "이미 합의가 끝난 일"이라며 완강한 입장이다.오는 11일 새정치연합이 의원총회를 앞두고 있어, 의총에서 원내지도부의 합의사항이 거부될 경우 자칫 13일 본회의가 무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된다.국정조사 청문회를 위한 증인채택 역시 진척없이 진통을 겪고 있다.새정치연합은 청문회 증인으로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정호성 청와대 제1부속실 비서관, 유정복 인천시장(전 안전행적부 장관)을 증인으로 요구하고 있으나 새누리당은 `거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증인 협상이 타결되지 못하면 오는 18일~21일 실시키로 합의했던 국정조사 청문회 개최 역시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현역의원들과 관련해 여야가 `방탄국회` 비판을 뛰어넘을지도 최대 관심사다.10일 검찰 등에 따르면 정부는 철도부품 시공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조현룡 새누리당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11일께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체포동의안은 국회에 접수된 이후 첫 본회의에서 보고된다. 국회는 본회의 보고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체포동의안을 무기명 표결처리해야한다.계산을 해보면 13일 본회의에서 조 의원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보고되고, 24시간이 경과한 14일부터 72시간 이내에 무기명 표결처리를 해야한다.현역의원 체포동의안은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 출석 의원의 과반수가 찬성해야 통과된다.그러나 광복절인 15일부터 주말인 17일까지 연휴가 시작되기 때문에 조 의원 체포동의안 처리를 위해서는 연휴 시작 전인 14일 별도의 본회의를 열기로 여야가 합의해야 하지만 이 마저도 여의치 않을 경우 20일부터 시작되는 8월 국회로 미뤄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