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원전이 2016년 최초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것을 시작으로 월성 원전 2018년, 영광 원전 2019년, 울진 원전 2021년에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후핵연료는 2024년까지 매년 1만 6890∼2만 2194다발 규모 발생이 예상된다.2021년 누적 발생량이 53만 4029다발에 달해 임시 저장 가능 총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여기에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2011년까지 호기 간 운반 비용에 81억 4000만 원이 지출됐다. 2016년까지 400다발, 16억 원 이상의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보인다. 경주에 건설 중인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장만 봐도 1986년 최초 검토 이래 약 20년 만인 2005년에 건설지를 가까스로 결정하는 등 사업비도 애초 1조 5000억 원에서 300억~1000억 원이 추가됐다. ▣원자력이 싸다고? 발전단가 산출근거부터 공개해야정부에서 원자력에너지를 찬양하면서 주장하는 두가지 큰 이유가 바로 안전성과 경제성이다. 핵발전소의 잦은 고장과 사고가 발생해도 안전, 하자가 있는 부품들을 납품한 비리가 발생해도 안전, 후쿠시마와 같은 핵재앙사고가 발생해도 우리나라 발전소는 안전, `무조건 안전`을 주장하고있다.수명연장까지 하는 상황인데도 말이다.원자력만큼 싼 원료가 없고 지금 우리나라의 전력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것도 다 원자력때문이라는 경제성을 주장하고있다. 전력통계정보시스템 ( http://www.kpx.or.kr/epsis/ )에서 각 연료원별 발전단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013년 3월 현재 유욘탄, 무연탄, 유류, LNG과 비교했을 때 원자력이 가장 저렴하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발전단가의 증가율도 가장 적은편이다. 정보공개센터는 발전단가의 산출근거에 대해 한수원에 원자력 발전단가 산출근거 현황 (2003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과 자본비, 운전유지비, 연료비, 사고대책비용, 원전입지 교부금, 연구개발비, 그 외 사회적비용등 항목별로 구분, 공개청구했다.또 정산단가 = 운전유지비(x)+ 연료비(x)+사고대책비용(x)+원전입지 교부금(x)+ 연구개발비(x)+ 그 외 사회적비용 등을 포함했다.비교를 위해서 수력, 양수력의 발전단가에 대해서도 함께 청구했지만 영업상 비밀이기 때문에 공개를 거부했다.현대경제연구원에서 `원전의 드러나지 않은 비용`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보면 원자력이 경제적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발전단가를 책정하는데 있어서 배제된 부분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정보공개센터는 핵발전소의 잦은 고장과 사고 발생으로 부품교체하는 등의 사고수습비용과 책정은 돼 있지만 턱없이 부족한 발전소 해체하는 비용과 환경복구비용, 사용후 핵연료비용등을 현실적으로 고려해 본다면 원자력에너지의 발전단가가 절대 저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3년전 후쿠시마핵사고를 겪고 뒷수습을 하는데 수백조원을 들이고 있는 일본의 경우, ‘발전단가 검증위원회’를 통해 지난해 원자력 발전단가가 화석연료의 93%까지 상승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는 2009년 원자력이 화석연료보다 36%가 더 비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정보공개센터는 "더이상 원자력이 다른 연료원들보다 경제적이지 않다는 연구들과 체르노빌, 후쿠시마와 같은 핵사고 발생시 수습비용의 문제와 더불어 생명과 환경에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고 주장했다.원자력의 경제성과 안전성에 대한 의심과 불안을 떨쳐버릴 수 없는 국민들을 설득하려면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들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정보공개센터는 한수원의 영업비밀보다 더 중요한게 국민들의 생명권과 알권리가 우선이다"고 목소리를 높엿다.때문에 핵없는사회 공동행동 회원들은 핵발전소 개수가 많을수록 핵발전소의 수명이 오래될수록 핵발전소가 밀집돼 있을수록 위험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