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1일 육군 28사단 윤 일병 집단구타 사망사건과 관련해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책임론을 두고 연일 공방을 벌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조정식 사무총장은 "군 당국에서 윤 일병 사건을 축소·은폐한 것도 모자라 민간의 군인상담이용전화 사용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있음이 드러났다"며 "언론이 입수한 육군내부문건에 의하면 육군본부가 각급 시민단체 군인권센터가 군인권상담전화 `아미콜`(Armycall)`을 이용하는 장병을 징계하겠다는 공문을 발송했다"고 지적했다.조 사무총장은 "군 당국이 이미 운영하고 있는 인권상담시스템은 보복을 우려해 장병들이 이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란게 이미 밝혀진 상황에서 군 당국이 민간의 상담전화를 조직적으로 방해한다는 것은 심각히 규탄받아 마땅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그는 그러면서 "국내 인권유린 사태를 방조·묵인하고 더 심각한 사태를 야기하고 있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은 즉각 물러나야 한다"고 밝혔다.이에 새누리당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 정론관 브리핑을 통해 "국회의원 개개인이 국민으로부터 행정부에 대해 철저한 진상을 규명하고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받은 개별 헌법기관"이라며 "그런데 진상규명에 앞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의 사퇴만 종용하는, 정쟁에만 매달리는 것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오히려 무시하는 행위"라고 맞섰다.그는 이어 "지난 7일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군 인권 개선 및 병영문화 혁신 특위가 곧 구성될 예정"이라며 "새누리당은 특위 활동을 통해 군대 내 인권침해 방지와 병영문화 개선 관련 입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 원내대변인은 그러면서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국회 본연의 입법 기능을 자각하고, 진상규명과 입법활동에 집중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