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무임승차 ‘얌체족’이 경부선에 몰려있다. 또 건수가 매년 가파르게 증가해 국민경제를 좀먹고 있으나 철도 당국은 제대로 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새누리당 김희국 의원(대구 중남구)에 제출한 따르면, 지난해 열차무임승차 건수는 28만 302건으로 최근 5년간 최다건수를 기록했다. 비율로는 3년새 90%나 증가했다. 이에 따른 운임 부과액 또한 35억여원으로 최대치에 이르렀다. 또 추석 열차예매를 앞두고, 열차 부정승차(무임승차) 건수와 부과액이 최근 5년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 11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인 김희국의원에게 보낸 자료에 따른 것이다.  철도 부정승차는 2009년 23여만 건에 이른 이후 점차 감소해 2011년에는 14만여건까지 줄어들었다. 그러나 2012년 20만건, 2013년 28만건으로 최근 3년간 90%가량 급증했다. 올 들어서 6월까지만 이미 14만 5000여건이 적발됐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진다면 연말에는 부정승차 건수가 30만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노선별로는 지난해 경부선이 171,347건 23억여원으로 부정승차의 60%를 차지하고 있었고, 호남선(31,276건)과 장항선(27,093건), 전라선(19,259건)이 그 뒤를 이었다.김희국 의원은,“코레일이 단속과 제재를 강화하면서 오히려 적발건수가 늘었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부정행위가 더 잠재돼 있다는 의미”라며,“사후적발이 아니라 사전예방으로 부정승차의 수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