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특별법 단일한 합의에 대한 새정치민주연합의 재협상 결정 이후 정국이 급속히 냉각되는 가운데 여야는 13일에도 각각 `합의 준수`와 `재협상`을 요구하며 평행선을 달렸다. 당초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 본회의를 열어 세월호특별법을 처리하기로 했지만, 현재로서는 여야 원내대표 간 회동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 이날 본회의는 사실상 무산됐다. 여야가 이날 세월호특별법과 함께 처리하기로 했던 국정감사 분리실시 관련 법률 개정안, 세월호 피해학생의 정원외 특례입학을 허용하는 내용의 특별법 등도 함께 지연되고 있어 이달 말 실시 예정인 1차 국정감사, 단원고 3학년 학생들에 대한 특례입학 적용 등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국회에 제출돼 있는 조현룡 새누리당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역시 이날 본회의가 불발되면 본회의 보고 절차를 밟을 수 없어 당분간 국회 계류 상태로 표류하게 된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새정치민주연합의 재협상 결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지만 대다수의 의원들이 재협상은 안된다는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김무성 대표는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이완구 원내대표는 전혀 실수도 없었고 무능함도 없었다"면서 "세월호특별법 여야 합의는 아주 잘된 합의"라고 `재협상 불가` 입장을 밝혔다. 특히 김 대표는 "경제 관련 법안은 살림살이가 힘들어진 국민의 원천적인 민생 문제"라며 "국회가 세월호특별법의 정치적 이용을 배제하고 당장 급한 민생·경제법안부터 분리처리하는 것이 진정으로 국민을 위하는 것임을 자각해야 한다"고 `민생입법-세월호특별법 분리처리론`을 내세웠다.이완구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야당과의 협상 과정을 설명하면서 "형사법의 근본 철학과 가치를 훼손하고, 피해자가 가해자를 수사하고 기소하는 것은 문명사회에서 용인될 수 없다"고 기존 입장을 거듭 고수했다.이군현 사무총장도 "정치는 국민과 민생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면서 "세월호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누구나 공감하지만 법과 원칙을 훼손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여당의 `신뢰 파기` 비판에 대해 야당은 당초 특검 추천권을 야당에게 주겠다고 한 김무성 대표의 제안을 내세우며 김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특검 추천권을 야당에게 주겠다(고 한 것은) 김 대표가 먼저 꺼낸 제안이었다. 그 말로 유가족의 기대를 부풀려놓고 말바꾸기로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든 책임을 져야 한다"며 "책임지기는커녕 야당의 전화도 받지 않으며 일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집권당 대표이자 정치지도자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조정식 사무총장 역시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철저한 진상규명에 동의하고 세월호 참사에 일말의 책임감을 느낀다면 유가족과 국민들의 요구에 지금이라도 즉시 응답해야 한다"며 "10번이든 100번이든 유가족과 국민의 아픔을 덜 수 있다면 여야는 만나 협상해야 한다"고 새누리당이 재협상에 복귀해야 한다고 말했다.하지만 야당에서 김 대표의 결단을 압박하고 있는 것에 대해 김 대표는 세월호특별법에 대해서는 이완구 원내대표에게 전권을 줬다면서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다.다만 여야는 이날 본회의가 무산되더라도 추가 협상을 갖고 오는 19일까지인 이번 임시국회 회기가 끝나기 전 본회의를 여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