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주택거래량은 총 7만6850건으로 전년동월(3만9608)대비 9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7만3108)보다는 5.1% 증가했다.지난해 6월엔 `4.1부동산대책`의 영향(취득세 감면혜택 종료 등)으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13만건)했다가 한달만에 대폭 감소했던 것이 올해 7월 기저효과로 작용, 두드러진 거래증가율을 기록했다.국토교통부는 13일 올 6월 기준 주택매매거래 동향 및 실거래가 자료를 공개했다.주택거래는 올해 들어서는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5월 들어 감소세로 전환된 후, 7월 들어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6월 이후 새 경제팀 구성에 따른 금융규제 완화(DTI·LTV 완화 등) 정책 발표로 인해 매수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지역별로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거래량이 111.9%, 지방은 82.6% 각각 증가했다.이 가운데 서울은 전년동월대비 133.1% 증가했는데,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가 204.6% 증가해 비교적 증가율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주택 유형별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동월에 비해 109.6% 증가, 단독·다가구 79.7%, 연립·다세대 주택도 97.5% 각각 증가했다.수도권에서도 아파트(130.3%) 및 비아파트 주택(단독·다가구 101.1%, 연립·다세대 75.0%) 모두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거래 금액별로는 수도권은 1억원 이하(50.0%) 주택의 증가율이 작고, 4~6억원대(196.8%) 주택의 증가율이 컸다. 지방은 1억원 이하(43.7%) 주택의 증가율이 작고, 3~4억원대(228.4%) 주택의 증가율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강남 대치 은마)와 수도권 일반단지(분당 수내 푸른마을), 지방 주요단지(부산 연제 연산동현대홈타운) 등에서 강보합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세부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포털(www.onnara.go.kr) 또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http://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