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15일 제69주년 광복절을 맞아 애국선열을 기리는 한편 박근혜정부를 향해 5·24 조치 해제와 함께 실효성 있는 남북정책 마련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다만 야당 지도부는 이날 정부 측이 세종문화회관에서 주최한 제69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했으나 통합진보당은 여의도공원에서 8·15 자주통일결의대회에, 정의당은 서울역에서 8·15 평화통일대회에 각각 따로 참석하는 등 엇갈린 행보를 보였다. 새정치연합 김영근 대변인은 "일제 압제 하에서 조국의 광복과 독립을 위해서 목숨마저 내던졌던 애국선열 영령 앞에 옷깃을 여미고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또 순국선열의 유가족에게도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김 대변인은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착잡한 마음으로 광복절을 맞았다"며 "남북관계는 경색돼 있고,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간절한 바람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산층과 서민, 사회적 약자들의 삶은 날로 팍팍해져 가고 있다. 외교적으로는 인접국 일본 아베정권의 군국주의 야욕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이제 `제2의 광복`을 위해서 나서야 할 때"라며 "내년 70주년 광복절에는 경제가 한층 나아지고, 한반도와 동북아에 평화가 정착되길 간절히 희망한다"고 말했다.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광복절 경축식 후 8·15 평화통일대회를 열고 "과거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하고 지난 70년, 일본제국주의가 부활하는 부끄럽고 심각한 국면에서 69주년 광복을 맞게 된다"고 밝혔다.천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일 메시지에 대해 "한심하다. 진정으로 과거사를 제대로 세우고 싶다면, 동북아의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싶다면, 지금 한일 간 추진하고 있는 군사협력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그는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진정으로 남북통일을 원한다면, 진정으로 드레스덴 구상이 실현되기를 원한다면, 5·24조치 해제를 포함한 대북관계에서 전향적 입장을 분명히 밝힐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는 이날 열린 자주통일결의대회에서 "현실을 바꿀 방법을 내놓지 않는 것이 지금 박근혜정권 대북정책의 근본 한계"라며 "남북관계를 개선하고자 한다면 5·24조치를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을 향해서도 "북도 보다 유연한 정책을 보여야 맞다"며 "한국 정부의 고위급회담 제의를 조건 없이 수락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