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성형외과의사회는 대형 성형외과병원을 중심으로 집도의를 바꿔치기하거나 비자격자가 수술에 참여하는 유령수술이 판을 치고 있다며 내부고발에 나섰다.유령수술을 살인 행위로 규정하고 사법부에 특단의 대책도 요구했다. 또 유령수술을 4단계로 나눠 설명하면서 환자들의 피해 방지를 당부했다.의사회는 19일 배포한 자료를 통해 "(성형외과) 병원장들이 앞다퉈 돈벌이가 되는 유령수술을 벌이고 있다"며 "수술실과 전신마취 마약을 이용해 당국의 감시망을 피하고 병원을 범죄조직화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어 "범죄 행위의 가담 정도에 따라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조직을 관리하고 있다"며 "외부로부터 범죄를 은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성형수술 관련 의료광고가 사실상 제한을 받고 있지 않아 대중교통 뿐만 아니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확산된다는 문제도 제기했다.의사회에 따르면 유령수술은 4단계로 발전했다. 1단계인 2008년부터 2009년에는 광고 규제가 풀리면서 일부 성형외과가 막대한 비용을 들여 대대적인 광고를 진행한다. 이후 유령의사를 고용한 후 똑같은 안경테를 지급하고 인상착의를 혼동하도록 환자들을 속였다.2단계는 2009년도에서 2010년 전후로 성형외과 전문의에 비해 인건비가 저렴하고 수술 경험을 쌓기를 원하는 치과의사, 이비인후과의사, 일반의사(GP)를 대거 고용한다. 심지어 의사 면허가 없는 비자격자를 고용하는 사례로까지 발전했다는 것이 의사회 설명이다.환자들이 집도의 면허 여부와 자격증 종류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을 악용해 유령의사들이 대거 활동하고 있다는 것이다.2010년 후반기에는 3단계에 접어들면서 전신마취약을 이용해 환자가 의식을 잃게 만드는 수법이 개발됐다. 이때부터 수술실 내 의료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불만을 제기하거나 사망한 환자들을 상대하는 처리 매뉴얼까지 공유한다.사망 환자 처리비용을 `의료사고손해배상보험`을 통해 변제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유령수술이 보편화되는 시기다.2011년 이후인 4단계에서는 안정기로 자리 잡아 막대한 돈을 벌어들인 일부 병원은 추가적인 유령수술을 위해 강남 요지에 대형 건물을 매입한다.상담실장을 통해 병원장이 수술하면 수술비가 두, 세 배에 달하지만 결과를 보증한다고 환자를 속인 후 유령수술을 집도하는 사기 수법도 등장했다고 의사회는 밝혔다.의사회는 "미용성형 수술의 본질적인 부분을 이해해야 스스로를 지킬 수 있다"며 "유령수술병원의 공통점은 포털사이트 카페와 블로그, 연예인광고 등을 하면서 10명 이상의 의사를 고용한 병원이다"고 설명했다.의사회는 "유령수술은 의료사고가 아니라 사기·살인죄로 처벌해야 한다"며 "연이어 터지고 있는 수술실 사망사고에 대해 유령수술이나 환자 동의가 없는는 장기적출 여부를 반드시 수사해달라"고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