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차기 당 지도부를 선출할 전당대회를 내년 3월8일 또는 10일에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비상대책위원회 임기 내 1만명 이상 당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를 찾으면서 전대 시기가 물망에 올랐다는 설명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21일 뉴시스와 통화에서 “전당대회 참여 인원이 1만명 정도인데, 그 인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장소를 섭외하면서 장소별 대관 가능 날짜, 비대위 임기 등을 맞추면서 검토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곳이 잠실 체조경기장이나 핸드볼 경기장 등 경기장, 일산 킨텍스 정도인데, 비어있는 날짜를 찾아보니까 그렇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비대위 임기는 출범 6개월을 맞이하는 내년 3월12일에 종료된다. 임기를 더 연장하지 않겠다는 방침에 따라 종료일 이전에 1만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장소에서 개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임기 종료일인 내년 3월12일이 일요일인 점도 고려할 대목이라고 한다.  이 관계자는 “일요일은 보통 대관이 어렵고, 지방에서 올라오는 당원들이 많아서 열기 쉽지 않다”며 “8일과 10일에 대관이 가능하고, 시간적으로도 적절하다고 판단돼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전당대회 개최 공고부터 실제 개최까지 통상 45~50일 소요됐던 점에 비춰보면 내년 1월 초·중순에는 전당대회 개최 공고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당내에서는 1월 초·중순에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를 꾸리고 중순에 공고하면 3월 초에 개최할 수 있다는 대략적인 계획이 검토 중이라고 전해졌다. 다만, 이번에 처음으로 결선투표제가 도입되면 전당대회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결선투표제를 도입한 당헌 개정안이 오는 23일 전국위원회에서 의결되면 추후 선관위에서도 검토하겠지만, 내년 3월10일 전당대회를 열고 결선투표로 갈 경우 비대위 임기 이후 한 차례 전당대회를 열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내년 3월10일 개최한 전당대회에서 과반 득표율을 기록한 후보가 없을 경우 득표율 상위 2명만 결선투표를 따로 진행해야 한다.  이 경우 결선에 오른 2명에게 3~5일의 선거운동 기간을 더 부여하면 비대위 임기 종료일(3월12일) 1~3일 후에 결선투표를 하게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