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오는 23일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차기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방식으로 일반 국민 여론조사 없이 당원 투표 100%와 결선투표제를 적용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의결할 예정인 가운데 비주류 당권주자와 친이준석계 등을 중심으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유승민 전 의원은 22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전당대회 룰 변경에 대해 “저 보고 나오지 말라, 유승민 안 된다, 유승민 나와도 막겠다, 이 메시지임은 분명하다”며 “제가 전대룰이 이렇게 되고 저렇게 되고 그게 제 출마 결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 뿐만 아니라 아마 당내에 조금이라도 비판적인 그런 세력, 정치인들은 (총선에서) 공천받기 힘들다고 봐야 한다. 지금 당원투표 100%에 반대하는 사람은 100% 공천 탈락이다, 이런 흉흉한 소리까지 돌고 있다”고 했다. 그는 “공천권 때문에 국민의힘 지금 분위기가 옛날 영화 양들의 침묵 분위기”라고며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관계자)들은 옛날에 진박 감별사들보다 좀 더 심한 사람들이다. 국민이 그 사람들을 독립적인 정치인으로 보나. 그냥 권력에 기생하는 사람들로 보지 않겠나”라고 비난했다. ‘진박 감별사’는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친박 세력들이 총선을 앞두고 ‘진실한 친박인지 아닌지 감별한다’고 비꼬면서 사용된 용어다. 안철수 의원도 수차례 언론 인터뷰에서 “당대표 뽑는 게 골목대장이나 친목회장을 뽑는 것은 아니지 않나. 국민 앞에서 정정당당한 모습을 보여야 총선에 도움 된다”고 당원 투표 100% 확대에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안 의원은 전날  당원 투표 100% 확대에 찬성한 김기현 의원이 지난해 대선 경선 당시 여론조사 비율 확대를 주장했던 것을 지적하며 “2021년의 김기현이 옳다”고 공개 지적하기도 했다. 같은날 김장연대를 “혼자서는 도저히 이길 수 없다는 사실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김기현 의원은 발끈했다. 김 의원은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김장(김기현-장제원)연대 풍문?? 자신 없다는 증거!! 마이너스 정치가 아니라 플러스 정치를 하겠다는 제목의 글에서 독불장군식으로 당을 운영하는 바람에 뜻을 같이 했던 동지들이 당을 떠나는 마이너스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받아쳤다.  김 의원 이외 권성동 의원, 조경태 의원 등도 당헌 개정안에 찬성하고 있다. 나경원 전 의원은 당초 부정적인 입장이었으나 당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그러자 윤상현 의원은 김장 연대는 윤심이 아니다고 공세를 폈다. 윤 의원은 같은날 페이스북에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무슨 제휴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안장(안철수-장제원)연대’ ‘김장(김기현-장제원)연대’ 등은 전혀 윤심이 아니다”라며 “이렇게 공개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윤심하고는 상관없다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윤 의원도 앞서 페이스북에 “당원 투표 100%로 당대표를 뽑아야 한다는 요구가 당내에 강하게 있다고 하더라도, 이렇듯 당원과 국민들의 의견 수렴없이 속전속결로 밀어붙여야만 했는지 안타깝다”며 재고를 요구한 바 있다. 친이준석계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허은아 의원은 22일 페이스북에 “당과 국민 사이에 돌이킬 수 없는 장벽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며 전국위원들에게 당헌 개정안 부결을 공개 요구했다. 하지만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같은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 룰 개정을 두고 당내에서 계속 이견이 나온다는 질문에 “제게 전당대회와 관련해서 이의를 제기하는 정치인은 거의 없다”며 “제가 충분히 거기에 대해 설명을 드려왔고 충분한 시간을 갖고 많은 경로를 통해 소속 의원님들의 압도적인 지지, 당원들의 압도적 지지를 확인했다고 여러번 설명했다”고 일축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