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성남FC 후원금 의혹과 관련해 오는 28일 소환을 통보한 가운데, 이 대표가 검찰 소환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 주목된다.
당 지도부는 ‘팩스 한 장으로 야당 대표를 소환했다’며 검찰의 소환 통보를 ‘망신 주기 수사’로 규정하는 등, 이 대표 불출석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오는 28일에는 광주 현장 일정도 계획된 가운데, 조만간 이 대표가 검찰 출석과 관련해 결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지난 23일 의원총회를 열고 이 대표를 향한 검찰 수사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앞서 수원지검 성남지청 형사3부(부장검사 유민종)은 이 대표에게 오는 28일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받을 것을 통보했다.
지도부는 ‘검찰이 깡패처럼 수사권으로 정치 보복하고 있다’며 검찰의 수사와 소환 통보 방식을 문제 삼았다.
‘범죄혐의와 물증이 뚜렷한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부터 수사하라’며 역공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표도 지난 23일 열린 강원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언론에서 언제 검찰 소환에 응할 것이냐는 질문을 많이 해주셔서 입장을 말씀드린다”며 “혐의도 뚜렷하지 않은 이재명에게 언제 소환에 응할 것이냐를 물을 게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이어 “중범죄 혐의가 명백한 대통령의 가족은 언제 소환조사 받을 것인가를 먼저 물어보시길 바란다”며 사실상 검찰의 소환 통보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9일 대장동·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한 허위사실공표 혐의 출석 요구에도 불응한 전례가 있다.
향후 대장동 의혹 등 검찰의 소환 요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검찰 각본대로 끌려다닐 이유가 없다는 취지다.
다만 검찰 소환에 계속 응하지 않을 경우, 이 대표 사법리스크를 둘러싼 ‘방탄 정당’ 이미지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당내 존재한다.
이 대표가 출석해 직접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비명(비이재명)계뿐만 아니라 친명계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의식한 듯, 이 대표는 지난 23일 강원에서 열린 국민보고회에서 “지킬 건 이재명이 아니라 바로 이 나라와 국민”이라며 지지자들과 당의 ‘원팀’ 정신을 강조했다.
그는 “멀리 봤을 때 우리는 한 식구이고 같은 목표를 향해서 가는 동행자”라며 “우리 안의 차이가 아무리 커도 싸워서 이겨야 할 상대보다는 가깝고 소중한 존재다. 서로 존중하고 연대하면서 가면 힘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가 당내 의견과 여론 등을 고려해 검찰의 전방위 수사에 `정면 돌파`를 택할지 주목된다. 검찰 포토라인에 서는 대신, 서면 조사 등의 형식으로 소환 통보에 응하는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도 있다.
안호영 수석대변인은 지난 23일 이 대표가 검찰과의 일정 조율이나 서면조사 계획이 있는지 묻는 질의에 “그 문제를 포함해서 검토 중”이라며 “당내 분위기는 (검찰의 소환 통보가) 절차·내용적인 면에서 무리하고 무도한 소환이기 때문에 끌려갈 수 없다는 분위기”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