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의 예산 삭감과 대구시 재정 문제 등이 얽혀 시청 신청사 건립 사업이 잠정 중단된 가운데 시민 2명 중 1명은 “대구시의 재정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북구 산격동 산격청사를 활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대구·경북지역 일간지 매일신문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26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 청사 이전 예산과 관련한 질문에 응답자의 49.2%가 ‘대구시 재정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산격동 청사를 활용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이전 예정지인 두류정수장 일부 부지를 매각해 신청사를 지어야 한다’(22.2%), ‘지방채를 발행해서라도 빨리 지어야 한다’(15.2%), ‘잘 모르겠다’(7.8%), 기타(5.6%) 등의 순이었다.
‘시 재정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산격동 청사를 활용해야 한다’는 응답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구와 수성구(59.7%)였고 서구와 북구 55.3%, 중구와 남구 41.6%, 달성군과 달서구 36.6%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지난 24일 대구에 사는 18세 이상 남녀 1000명에게 ARS(무선 70%, 유선 30% 병행 방식)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8.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한편 홍준표 대구시장은 시의회가 신청사 설계공모에 드는 예산 130여억원을 전액 삭감하자 신청사 이전 주무부서를 폐쇄한데 이어 내년 말 다시 설계공모 예산을 시의회에 신청하는 것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는 최근 “내년 추경에 설계공모 예산을 청구하지 않겠다”는 뜻을 명확히 해 신청사 건립사업이 당분간 속도를 내지 못할 것을 보인다.
신청사 신축 움직임은 2004년부터 논의됐으나 입지 선정과 건립비용 문제, 정치적 갈등 등으로 미뤄져왔다.
업무 공간이 협소하자 대구시는 2006~2016년 본청과 가까운 건물 2곳을 임대해 별관으로 사용했다.
이때문에 시 본청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46%가 본청과 별관을 오가야 하는 불편 속에 업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높았다.
본격적인 이전 움직임은 지난 2019년부터 나타났다. 시청 이전을 공약으로 내건 민선7기 권영진 전 시장 당시 신청사 건립 조례가 제정·공포되면서 속도를 내게 됐다.
대구시는 신청사건립공론회위원회를 구성하고 2019년 12월 22일 100인이 참여한 시민참여단의 평가를 근거로 신청사 건립 예정지를 최종 선정했다.
시민참여단 평가 결과 후보지 4곳 중 1000점 만점에 648.59점을 획득한 달서구 두류동 옛 두류정수장 부지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신청사 건립 예정지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