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인 집값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청약을 통한 아파트 분양의 메리트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자재값 인상, 후분양 등을 감안해 분양가를 다소 높게 책정했던 단지들이 인근 단지 시세에 비해 경쟁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만8107가구로 전월 대비 17.1%(1만80가구) 증가했다. 이는 정부가 ‘위험수위`’로 인식하고 있다는 6만2000가구를 웃도는 수치다. 실제 분양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분양에 돌입했던 강동구 ‘더샵파크솔레이유(3.3㎡당 3630만원)’ 성북구 ‘장위자이 레디언트(3.3㎡당 2834만원)’ 강북구 ‘한화 포레나 미아(3.3㎡당 3200만원)’·‘칸타빌 수유 팰리스(3.3㎡당 3415만원)’ 등 단지는 현재 잔여 세대에 대해 선착순 분양을 진행 중이다. 이들 중 일부 단지는 지난해부터 수 차례 무순위 청약을 진행해 왔지만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지 못하면서 결국 선착순 분양에 돌입했다.  선착순 분양이란 일반공급이나 무순위 청약에서 경쟁률 1대1 미만을 기록한 단지들이 선착순으로 계약을 받는 분양 방식이다.  이 단계까지 오게 되면 청약통장은 따로 필요하지 않고, 수요자들은 원하는 동·호수를 선택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도 광명시 철산동 ‘철산자이더헤리티지(3.3㎡당 2896만원)’가 이날까지 선착순 분양 신청을 받고, 의왕시 내손동 ‘인덕원자이SK뷰(3.3㎡당 2800만원)’ 안양시 호계동 ‘평촌 두산위브 더프라임(3.3㎡당 3280만원)’ 등이 선착순 분양을 받고 있다. 특히 안양 호계동 ‘평촌 센텀퍼스트’는 일반 분양가를 3.3㎡당 3211만원에서 2889만원으로 10% 할인하기로 했고, 서울 구로구 오류동 ‘천왕역 모아엘가 트레뷰’는 계약시 현금 3000만원 지급과 입주 전 계약 해지시 계약금 전액 환불 등 대대적인 마케팅에 나섰지만 여전히 모집 수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에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 청약자 A씨는 “분양가를 할인해도 최근 급락하고 있는 주변 구축단지 시세보다 분양가가 더 높다보니 큰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며 “차라리 그 돈으로 인프라가 비슷한 인근 아파트를 매매하는 것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단지들이 주변 시세보다 1~2억원 가량 높게 분양가를 책정하면서 미분양이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부 단지는 분양가상한제를 피해 분양가를 높이 책정하기 위해 후분양으로 돌리는 전략도 취했지만 인근 아파트 시세가 낮아지고 잔금을 빠른 시일 내에 내야 한다는 부담감이 커지면서 오히려 수요자들의 발길이 끊기기도 했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규제지역 해제 및 자재값 상승 등 요인으로 분양가를 더 낮추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지난해 자재값이 너무 많이 올랐고, 규제 완화로 분양가 상한제가 풀리면서 분양가를 다들 조금씩 올리려는 분위기”면서도 “다만 최근 분양 시장의 분위기가 너무 좋지 않아 건설사들도 내부적으로 고민이 많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분양 물량이 계속 쌓이자 주택업계에서는 정부에 “미분양 물량을 매입해달라”고 공식적으로 요구하기도 했으나 정부 측은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의 경우 약 7000가구 수준으로 위험 수준이 아니라며 “건설사들이 우선 분양가 할인 등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전문가들은 인근 부동산 시세보다 높은 분양 단지를 외면하고 합리적인 분양가를 찾는 수요자들의 ‘옥석 가리기’가 계속될 것이라며, 건설사들의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지역 시세 대비 과도하게 높은 분양가를 책정한 단지라면 소비자가 합리적 판단에 따라 외면하는 것이 정상적인 소비 행태”라며 “준공 후 미분양은 아파트 단지 이미지에 장기간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악성 미분양이 늘지 않도록 건설사들이 상당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향후 할인 분양이나 중도금 무이자 등의 건설사 자구책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