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상승폭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고 있어 향후 주택시장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가 재건축 규제 완화,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1기 신도시 특별법 등 잇따라 규제 완화책을 내놓으면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는 가운데 여전한 금리 부담과 미분양 확산 등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만한 요인이 쌓여 있어 시장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안갯속 국면이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1월 넷째 주부터 지난주까지 -0.31%, -0.25%, -0.31%, -0.28% 등 상승폭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고 있다. 아파트 매매 수요도 갈팡질팡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를 나타내는 매매수급지수는 같은 기간 66.0, 66.5, 66.0, 66.4 등으로 들쭉날쭉한 상황이다.  인플레이션 위기에 당분간 높은 금리가 불가피해 부동산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대출 규제, 재건축 규제, 청약 규제 완화에 나선 것을 계기로 시장이 출렁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달 말 특례보금자리론을 내놓은 후 서울에서는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노·도·강(노원·도봉· 강북구) 거래가 늘어나고, 재건축 규제 완화 이후 서울 양천구 목동, 경기도 성남시 분당, 경기도 고양시 일산 등 노후 단지가 많은 지역의 주택 거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이달 20일 계약 기준 총 1317건으로 지난해 5월(1737건) 이후 8개월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아직 월말까지 신고기한이 남아 있어 1월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 기준금리가 정점에 다다랐다는 인식이 생긴 것도 거래량 증가의 원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지난달까지 7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지난달 회의에서 3명의 금통위원이 3.5% 수준에 도달한 후 영향을 지켜보는 게 바람직하다고 언급하면서 기준금리가 정점에 도달했다는 소위 ‘금리 정점론’이 부상했다. 은행 대출금리도 하락하고 있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신규 취급된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4.63%로 전월(4.74%)보다 0.11%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4월부터 상승세를 이어오다 8개월(11월) 만에 하락 전환한 후 2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실제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단도 연초 8%에서 6% 낮아졌으며, NH농협은행은 지난 20일부터 주담대 변동형 금리를 0.8% 내렸다.  실제로 최근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이후 거래가 늘어난 노·도·강 지역에선 급매가 소진되면서 기대감이 높아진 집주인들이 호가를 높이는 모습도 포착된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최근 하락폭 축소는 고점 대비 수억원 내린 급매물이 소화되는 것으로 매수세가 본격적으로 회복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급매물 소진 후 시세 하한가가 소폭 오를 수 있지만 수요자들이 추격매수를 자제하면서 가격 반등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