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은 `지방의 힘`이 그 어느 때보다 크게 발휘될 전망이다. 오는 6월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국정 방향이 새로운 분기점을 맞게 될 가능성이  그 어느떼보다 크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중앙 중심에서 명실상부한 지방주권 시대로의 대이동을 목도하게 될 것이다. 올해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영역에서 `가장 지방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화두가 실현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도 있다.  올해 지방선거는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도 지니고 있지만 지방 정계가 대폭 물갈이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지역에 따라선 10여년간 지속돼 온 1인 체제의 장기 집권 시대`를 대체할 새 지방권력이 들어설수도 있을 전망도 있을 수 있다. 이른바 새 술을 담을 새 그릇이 빚어지는 것이다. 그러기에 유권자들은 새 시대 새 지역을 이끌 참신하고 경륜 있는 인물과 정치 세력을 골라내야 할 책임도 있다.   지방권력 재편이 중요한 것은 미래 청사진을 새로 그릴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미완의 숙제가 한 둘이 아닐 정도로 균형 개발 등 현안이 쌓여 있을 수도 있다.  낙후된 산업구조를 첨단산업으로 대체, 미래의 희망으로 만들어 내야 할 화급한 과제도 안고 있을수도 있다. 그러기에 새로운 당선자는 복잡다양한 현안과 지역민의 다양한 요구를 제대로 조정·통합, 지역을 그랜드 디자인할 막중한 책무를 지고 있음 또한 당연하다.   21세기형 지방행정은 교육과 복지, 그리고 문화에까지 전방위적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충실히 구축하는 한편 지역민이 일상에서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의,식,주 외 문화·예술 융성에도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 관과 경제·사회·문화예술계 등 민간이 합심해야 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기초선거는 중요하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할 `지역 일꾼`이 뽑혀야 한다. 지방권력을 견제·감시할 의회의 구성에도 관심을 기울일 일이다. 유권자들도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중앙 정부도 나라의 미래가 지방에 걸려 있음을 잊어선 안 된다. 각종 행정권을 지방에 과감히 이양하고 중앙기관의 이전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지역 발전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도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진정한 `시민 권력`의 출현을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