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통일시대 기반 구축을 위한 구상을 구체적으로 국민 앞에 밝히는 신년 기자회경을 가졌다. 지난해 2월 25일 취임한 이후 사실상의 첫 기자회견이다. 박 대통령은 먼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라는 액션 플랜을 제시했다. 또 이를 위한 3대 추진 전략으로 비정상적 관행을 정상화하는 개혁, 창조경제를 통한 역동적 혁신경제 실행, 내수와 수출이 균형을 이루는 경제를 국민앞에 소상히 제시했다고 하겠다.  또 박 대통령은 경제 재도약에 국정 능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히고, 특히 가장 시급한 과제로 공공(公共)부문의 개혁을 제시한 것은 올바른 접근 방향이라고 하겠다. 국민에게 허리띠를 졸라매고, 다시 한 번 뛰자고 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자구(自救)노력이 선행돼야 설득력과 호소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만도 원전 및 4대강 비리, 철도노조 불법파업 등을 통해 공공부문의 부패와 방만 경영이 얼마나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는지 확연하게 드러낸 셈이다. 공공부문을 지금 개혁하지 못하면 국가 재정도 위기 상황에 이를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대 정권 모두 공공부문 개혁을 추진해 왔지만 의지 부족과 노조의 강력한 저항에 부닥쳐 성공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박 대통령도 이날 “그 전철을 되풀이해서 국민들에게 부담을 지우고 국가 발전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될 것”이라며 보다 결연한 의지도 밝혔다. 보다 치밀한 계획과 비전으로 이번만큼은 공기업 개혁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박 대통령은 또 연초부터 경기 활성화를 위해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한 내수 활성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규제개혁 장관회의’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회의도 중요하지만 구체적인 성과가 더욱 중요한 만큼 실제로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박 대통령이 북핵(北核) 폐기를 최우선 안보 과제로 거론한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북핵의 고도화를 차단하고 완전한 폐기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며 이와 무관하게 대북 교류 강화 방침도 밝혔다.    한 번의 회견으로 불통 논란을 잠재우기는 어렵다. 박 대통령의 말대로 소통과 타협은 다르다. 그러나 다수 국민이 지지하는 국정 원칙을 더 효율적으로 관철하기 위해서라도 불통 얘기를 더 이상 듣지 않도록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