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의 원격의료와 영리병원 추진을 반대하면서 오는 3월 조건부 총파업을 강행키로 결의한 것과 관련해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은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의료 민영화와 관련, 보건복지부와 새누리당이 당정협의를 통해 대응하고 있는 만큼 청와대가 이 문제를 나서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청와대는 의사들의 집단 행동이 현실화될 경우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판단하에 이번 사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청와대는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민영화 시비가 파업으로 연결된 철도노조 사태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고 의료 자회사 설립 허용은 공공성을 전혀 훼손하지 않으면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알리는데 주력할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해 12월27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의료·철도 민영화 논란과 관련해 "잘못된 인식이나 이념논리 때문에 나라발전이 가로막히지 않도록 전문가들과 함께 올바른 논리를 세워 국민들께 적극적으로 제대로 알릴 필요가 있다"고 주문한 바 있다.
청와대는 일단 의사협회와는 대화를 통해 오해를 불식시키고 원만하게 사태를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지만 실제 총파업에 돌입할 경우 철도노조 파업이 철회되기까지 강경 대응 기조를 굽히지 않은 것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전망이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한·미 양국이 우리 정부의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지난해에 비해 5.8% 인상한 9200억원으로 최종 합의한 데 대해서도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자리에서 방위비 분담 협상결과와 관련해 "이미 보고되고 협의된 것이기 때문에 청와대에서는 따로 입장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