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설 명절(31일)을 앞두고 물가를 잡기 위해 15~29일 `설 명절 물가안정 특별 대책기간`을 운영하고 광역·기초 지자체에 `물가대책 종합상황실`을 운영키로 했다.
특히 사과·배·쇠고기·조기 등 설 성수품과 쌀·밀가루·휘발유 등 생필품 28개 품목은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직거래 장터 개설을 독려하고 주정차 허용 대상도 확대해 전통시장 이용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안전행정부(장관 유정복)는 14일 대전시 대덕구청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17개 시·도 물가담당 국장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이 자리에서 `설 명절 물가안정관리 대책`을 전달하고 서민들이 차례상 차림에 대한 부담 없이 설을 보낼 수 있도록 지자체의 특별한 관리를 당부했다.
특히 안행부와 지자체는 `물가대책 종합상황실` 운영을 강화해 상황 점검 및 보고·전파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소비자단체·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현장물가 상황을 점검할 방침이다.
또한 17개 시·도별로 물가책임관을 지정해 주요 간부가 시군구를 직접 방문해 현장 중심의 물가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대전시 소비자단체, 주부물가모니터 등도 참여한 이 날 회의에서는 설 물가 안정관리와 관련한 지자체의 다양한 방안이 발표됐다.
대전시는 설 차례상을 패키지로 한 가격을 조사해 공표하고 서민 생활과 밀접한 관리 품목을 선정해 목표관리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전통시장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12월 전통시장 공공 무선랜(Wifi) 구축을 완료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2013년 지방물가 안정관리 실적평가 우수 지자체`에 대한 시상도 있었다.
최우수 지자체로는 대전시·충청북도·제주특별자치도·전북 완주군·대전 서구·전북 고창·경기도 안성시가 선정됐다.
우수 지자체로는 광주광역시·인천광역시·전라북도·경기도·대구 달서구·서울 서초구·충남 보령시·경기도 파주시·강원도 양양군·충북 진천군·인천 부평구·충남 공주시·충북 충주시·강원도 횡성군이 선정됐다.
정재근 안행부 지방행정실장은 "우리 고유의 큰 명절인 설을 맞아 국민들이 차례상 차림에 따른 걱정 없이 따뜻하게 보낼 수 있도록 지자체와 물가관리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