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6개 지방경찰청이 장의업계의 리베이트와 폭리, 음식과 꽃장식 등 물품 재사용과 화장장 사재기 등 고질적인 비리에 대해 무기한 수사에 들어갔다고 한다. 지난번 부산경찰청이 리베이트를 주고받으며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으로 각종 장의용품을 판매해 폭리를 취한 병원 장례식장과 상조회사, 장의용품 납품업자 등 60여 명을 무더기로 적발한 이후의 후속 조치로 보인다.장의 비리는 전국 상당수의 장례식장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상주들은 고인을 마지막으로 보내 드리는 장례 기간 동안 시끄럽고 불미스러운 일을 피하기 위해 장의업계의 횡포를 묵인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악용, 상주들을 우롱한 장의업계의 어처구니 없는 작태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수준에 달했을 정도다. 지금까지 적발된 장례식장과 상조회사 직원들은 꽃장식의 경우 판매대금의 40%, 영정사진은 50%, 운구차 대여와 납골당 안치는 각각 청구비용의 30%를 납품업자들로부터 불법 리베이트로 받아 챙겼다고 한다. 각종 장의용품 판매대금의 30~50%에 해당하는 뒷돈이 오고 간 것이다. 이러한 리베이트가 관행화되면서 납품업자들은 그만큼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장의용품을 원가보다 3~5배가량 비싸게 판매해 오다 적발됐다.이러한 행위들은 상도덕에도 크게 어긋날 뿐만 아니라 남의 주머니를 마구 뒤지는 강도짓을 방불케 하는 횡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경찰이 고인과 유족을 모독하는 장의 비리에 대해 전국적인 차원에서 `전쟁`에 돌입한 것은 마땅하고 당연한 일이라고 하겠다. 작심하고 시작한 수사인 만큼 장의업계의 비리를 뿌리 뽑을 때까지 끝까지 수사력을 집중시켜 주기 바란다.심각한 도덕적 불감증에 빠져 있는 상당수의 장의업계 관계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고질적인 장의 비리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단속과 엄정한 처벌밖에는 달리 방법이 또 있겠는가.이번 수사를 계기로 장의업계의 바가지 상혼은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