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안철수 의원 신당준비조직인 새정치추진위원회의 창당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창당시점에 따른 이해득실을 놓고 정치권 내 의견이 분분하다. 원론적으론 새정추가 6월 전에 안철수신당을 창당하고 신당 소속 후보들이 기호 5번을 달고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나서는 게 유리하다. 신당이 지방선거 전에 등장할 경우 신당 후보들은 현행 공직선거법 상 1~4번을 받는 새누리당·민주당·통합진보당·정의당에 이어 기호 5번을 부여받게 된다. 기호 5번에다 새 당명과 새 상징색으로 무장한 신당 후보들은 안 의원의 인기를 등에 업고 지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신당 후보들이 선거운동을 할 때 다섯손가락을 쫙 편 채로 손을 흔들면 여러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창당을 하지 않고 지방선거를 치를 경우 위험성이 크다는 점 역시 신당 창당을 재촉하는 요인 중 하나다. 실제로 새정추 후보들이 무소속으로 나서면 통일된 기호를 받을 수 없다. 새정추 후보들은 각 지역마다 난립한 다른 무소속 후보들과 함께 기호 추첨식에 참석해 무작위로 기호를 뽑게 돼 통일된 기호를 활용한 선거운동은 불가능해진다.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14개 정당이 모두 후보를 낸다면 최악의 경우 새정추 후보의 기호는 15번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창당을 하지 않을 경우 새정추 후보를 사칭하는 이들을 사실상 규제할 수 없다는 점 역시 고민거리 중 하나다. 일부 후보들이 새정추 문양을 무단으로 차용하거나 밝은 파랑 계통의 상징색을 쓰며 안철수 의원과 인연이 있다고 주장하기 시작하면 사실상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창당 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새정추는 무작정 창당을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시·군·구 기초자치단체장·기초의회 선거 정당공천 폐지 문제를 논의 중이지만 대치상황 속에 여전히 결론을 내놓지 못한 탓이다. 만약 정개특위가 활동기한인 이달 말까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에 합의한다면 새정추는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지방선거 전에 창당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기초선거 정당공천이 폐지되면 전국 어느 선거구든 후보가 난립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어느 정당 소속이냐가 별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선거결과가 나오더라도 새정추를 비롯한 각 진영의 성적을 가늠하기 어려워진다.  또 기초선거 정당공천이 폐지되면 새정추는 광역단체장 선거에 집중할 수 있다. 광역단체장 선거의 경우 후보자의 소속정당보다 인물 경쟁력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사례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새정추는 매력적인 후보자를 내세우고 선전을 하는 것만으로도 창당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전망이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가 유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새정추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며 "기초선거 정당공천이 폐지된다면 창당을 늦출 수 있지만 이 제도가 유지되면 현실적 고민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윤 센터장은 "(기초공천 제도가 유지된 상태에서도)새정추가 광역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만 선거를 치른다면 지방선거 전에 창당을 하지 않을 수 있지만 만약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도 적극적으로 후보를 내겠다고 결정한다면 창당의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정개특위 논의상황과 새정추 내 선거대응방침 등 변수가 속출하는 탓에 안철수신당 창당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이달 말께 정개특위 활동기간이 연장되고 새정추의 향후 인재영입이 순조롭지 않을 경우 신당의 등장시점은 예상외로 늦춰질 수도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