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나 17일 설맞이 종합대책을 마련해 다음달 3일까지 시행에 들어갔다. 시는 먼저 설맞이 성수품 가격안정 및 수급상황 점검을 위해 시, 구·군, 물가관리 유관단체와 설맞이 물가안정 대책회의를 열고 농축수산물 수급안정대책반(8개반 72명)을 운영하며 농축수산물 임시직판장(직거래장터 포함 22곳)을 개설한다. 근로자 체불임금 해소를 위해 체불임금 예방점검반(9개반)도 구성해 체불업체 현황을 파악하고 집중방문을 통해 체불해소를 독려한다. 또 교통상황실(2개반 231명)을 운영하고 교통체증이 예상되는 국도 4호선 김천~대구, 국도 4호선 왜관~대구, 국도 5호선 동명~대구, 국도 30호선 성주~대구 등 국도 4곳은 우회도로를 지정·운영한다. 귀성객 수송력 증강을 위해 대중교통 운행 횟수도 증편(열차 19회, 고속버스 90회, 시외버스 20회)하고 귀성객의 주차불편 해소를 위해 공공기관 및 학교운동장 주차장 491곳을 무료 개방한다. 사회복지시설 생활자(6,037명),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등 저소득 주민(11,000세대) 및 거리노숙인·쪽방생활인(950명)을 대상으로 특별위로금, 생활용품, 상품권 등을 지원(7억 73백만원)한다. 특히 설 연휴기간 시민편의 증진을 위해 당직의료기관(800곳) 및 당번약국(1,200곳)을 지정·운영하고 응급의료기관 13곳 및 보건소는 연휴기간 상시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하도록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가스와 유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LP가스판매 당번업소 32곳을 지정하고 유류판매업소 443곳을 대상으로 적정 재고를 확보토록 독려한다. 채홍호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설맞이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시민들이 따뜻하고 훈훈한 설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시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