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고등부 장애학생 중 졸업 후 취업도 대학 진학도 못하는 학생이 3명 중 1명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교육청이 19일 공개한 최근 3년간 서울 지역 장애학생 고등부 졸업자 수를 보면 특수학교, 특수학급을 모두 포함해 2011년 843명에서 2012년 932명, 2013년 942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중 취업자는 2013년의 경우 222명(23.6%)에 그쳤으며 진학한 학생은 346명(36.7%)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도 진학도 못한 학생은 가장 많은 374명(39.7%)으로 나타났다.  취업 현황을 분야별로 보면 서비스업이 5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포장조립운반 39명, 사무직 26명, 제과제빵 13명 등의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서울시교육청과 산하 교육기관의 장애인 고용은 모두 1592명으로 교원 1148명(2.5%), 지방공무원 237명(3.5%), 비정규직 207명(1.2%) 등으로 집계됐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르면 국가와 지자체는 소속 공무원 정원의 3% 이상을 장애인으로 고용해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벌금 성격의 고용부담금을 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도교육청들은 장애인 고용을 늘리는 대신 수년째 벌금을 내고 있다.  서울의 경우 2011년 25억7262만원을 냈으며 2012년에도 25억4190만원을 납부했다. 2013년의 경우 그나마 `장애학생 희망일자리사업` 기관 채용 덕에 약 5억원을 절감해 20억3138만원을 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원의 경우 교대 졸업생들만 임용고시 시험을 보는데 이들 자체에 장애인이 많지 않다"며 "교원이 될 수 있는 장애인 인프라가 적은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장애인 고용률을 높이기가 힘들다"고 토로했다.  뉴시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