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인 사람보다 30배 이상 땀 분비량이 많은 것이 다한증이다. 별다른 문제로 여기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줄뿐더러 심하면 대인기피 증상까지 보이므로 조기에 치료받는 것이 좋다. 자율신경이 조절하는 땀의 분비량이 자율신경의 이상으로 과다해지면서 다한증이 발생한다. 단순한 키보드 작업도 휴지가 없으면 못하거나, 필기를 하면서 공책이 땀으로 젖는 경우, 겨드랑이 다한증 때문에 색이 있는 셔츠를 못 입는 경우, 손에 흘린 땀 탓에 악수를 하지 못하는 경우, 발바닥 다한증으로 심한 악취가 나 신발을 벗는 식당에 갈 수 없는 경우 등 다한증 피해사례는 다양하다. 특히, 다른 사람들도 땀을 많이 흘리는 더운 계절에는 상관 없지만 겨울에 증상이 더 도드라진다는 것이 문제다. 추운 날씨임에도 겨드랑이에서 땀이 흘러 찬바람이 불 때마다 짜릿한 느낌을 받은 경험이 있다면 병원에 가봐야 한다. 다한증은 온몸에서 땀이 발생하는 전신적 다한증과 겨드랑이, 손, 발 등 특정부위에서 발생하는 국소적 다한증으로 분리할 수 있다. 자율신경 기능장애와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매운 것을 먹을 때도 생길 수 있다. 다한증의 원인이 되는 땀은 피부에 있는 에크린선과 아포크린선이라는 2가지 종류의 땀샘에서 분비된다.이 중 아포크린선은 피지선과 연결돼 있어 냄새를 발생시킨다. 땀의 주성분은 99%가 수분이며 기타 요소, 염분, 무기염류 등이다. 온몸에 200만~500만개 정도의 땀샘이 분포돼 있고 생성 후 2개월 이상 지나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아 땀을 분비하게 되며 지역별 온도차에 의해 더운 지방 사람이 땀이 더 많고 여성보다는 남성이 땀이 더 많은 편이다. 약물, 영동이온요법을 이용한 디스웨터, 경구용 약물, 자율신경 절단, 땀샘 지방흡입, 보톡스 등으로 치료한다. 이 가운데 보톡스로 국소적 다한증을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일상에서 불편도 적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박사(피부과 전문의)는 "우선 요드와 녹말을 이용한 마이너스 스웨트 테스트로로 땀이 나는 위치를 파악한 다음 국소마취 또는 냉각마취 후 해당 부위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된다. 1회 시술 뒤 약 6~9개월간 치료 효과가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