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박물관 소장 유물정보 거의 대부분이 일반에 공개되고 유물정보가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된다.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는 전국의 국공립 대학 및 사립 대학 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국가유물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대국민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유물정보서비스 선진화` 추진계획을 20일 발표했다. 문체부는 `정부 3.0` 정보공개 확대 정책에 맞게 국가유물 관리 체계의 선진화를 통해 현재 3.5% 수준인 국립박물관의 대국민 유물정보 공개율을 2017년까지 80억원을 투입해 92.8% 수준으로 높여 대국민 접근성을 제고시킨다는 목표다.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고고, 회화, 자기 중심의 유물정보 관리체계에서 벗어나 민속사, 자연사 등을 망라하는 표준유물 관리체계를 확립키로 했다.이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모든 국공립 대학 및 사립 대학 박물관 등이 참여하는 `국가유물표준화위원회`를 상설화하기 위해 국가유물정보 관리표준(안)을 제정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표준안을 기초로 개별 박물관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표준유물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아울러 유물 정보의 고품질화를 통해 단순히 유물을 관람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유물 정보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키로 했다. 산업적 활용 및 민간에서 활용률이 높은 유물정보를 중심으로 순차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병행해 국가문화유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가이드를 제정, 개별 박물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국가유물의 대국민 서비스 선진화 기반을 마련하고, 우수한 한국의 유물정보의 개방 확대와 문화정보자원의 산업적 활용을 통한 창조경제 추진의 중요한 밑거름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