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고 이후 정홍원 국무총리가 구상한 민관 합동 국가대혁신 범국민위원회 설치 작업이 한 달 이상 지체되고 있다.28일 국무총리실에 따르면 정부는 정 총리가 지난 7월8일 대국민 담화에서 국가 혁신을 위한 민관 합동 추진체계 구상을 밝힌 뒤 8월28일 출범을 목표로 준비 작업을 진행해 왔다.공직개혁, 안전혁신, 부패척결 등 국가 혁신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면서 국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해 시민단체, 학계 등 민간 각계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계획이었다.그러나 당초 출범 예정일이 한 달 이상 지났음에도 총리실은 위원회를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위원장과 위원 인선, 위원회 조직 구성, 논의 의제 등 어느 것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총리실은 정치권의 대치 상황을 위원회 출범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로 들고 있다.총리실 관계자는 "세월호 특별법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교착 상태에 있어 있어 출범 시기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특별히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하지만 정 총리가 지시한 부패척결 추진단, 안전혁신 마스터플랜 등은 이미 추진 계획이 나왔다는 점에서 정부가 한 달 이상 위원회 관련 상황을 진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일각에서는 정부가 위원 영입 등 준비 과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된다.최근 들어 총리실이 주도하는 국정 운영에 추진 동력이 떨어졌다는 얘기도 나온다.지난달 20일 열릴 예정이던 2차 규제개혁장관회의는 과제 해결 성과가 부족하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지적을 받고 2주가량 연기되기도 했었다. 총리실은 2주 동안 부랴부랴 민간 건의 과제 15건을 해결한 끝에 회의를 열 수 있었다.또 내부 인사 문제도 풀리지 않고 있다. 총리실 공보실장과 경제조정실장 등 1급 2개 직위는 현재 한 달 이상 공석인 상태다.총리실은 지난달 13일 이석우 전 공보실장과 조경규 전 경제조정실장이 각각 차관급인 비서실장과 2차장으로 임명된 이후 청와대에 복수의 후임자를 추천했지만 아직까지 재가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