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AI 위기수준을 관심단계에서 주의단계를 건너 뛴 경계단계로 격상시켜 철통같은 차단방역체계에 나섰다. 이례적 조치는 전남에서 두 달여 만인 지난 25일 전남 영암의 오리농가에서 고병원성 AI로 확진된데 따른 대응조치다. AI가 또다시 묻어 들어오기 전에 철저히 방역하는 것이야말로 재발의 우환을 막는 가장 현명한 조치이다.전남 영암의 오리농장에서 발생한 AI가 고병원성으로 최종 확인됨에 따라 전남 일대에 비상이 걸린 것은 당연하지만 경북도처럼 다른 지역도 비상사테에 들어갔다. 지난 번에 경험했듯이 전국적으로 번졌던 AI 바이러스가 소멸됐다고 안심할 시점에 강원·대구·전남 등 전국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사실 때문이다. 정확한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이번 AI가 지금까지 외국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유형인 것으로 보아 국내 가금류에 남아 있던 AI가 변이를 거쳐 이미 토착화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실제 AI가 여름인 7월을 거쳐 가을로 접어든 9월까지 발생한 것이 처음인 점도 그런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전남도는 토착화를 부인하며 소독 등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면 충분히 사멸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번 경우에 보듯 계절에 상관없이 창궐하는 AI에 대해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상책이다.경북도 역시 국내 바이러스 잠재가능성, 철새도래 등 지리적 여건, 외국인종업원 고용 등 국내 축산여건을 종합해 볼 때 기본방역 충실만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전통시장과 소규모 오리사육농가 등 방역취약지구에 대한 상시예찰·소독실시·점검 등 관리를 강화에 나선 것이다. AI 청정지역인 경북도가 지난 3월 뚫리면서 520농가의 1천387만2천마리 오리와 닭이 매몰 채분됐고, 보상금만 1천500억원을 넘는 피해를 입었다. 현재 도내에는  농장 6천278곳에서 닭 3천만마리, 오리 14만7천마리, 메추리·꿩·타조 등 기타 176만1천마리 등 모두 3천197만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전국 대비 20%에 달하는 높은 비중이다. 이제 AI는 연중 감시대상이 됐다. 타도에서 입식되는 가금류에 대해 반드시 이동승인서 확인, 임상관찰·검사를 강화해야 한다. AI 종식선언이나 청정국 지위회복에 집착하기보다 농가 단위의 철저한 차단방역 등 완벽한 상시 방역시스템을 갖추는데 주력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