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파행의 원인이 됐던 세월호 정국이 일단락되면서 여야는 이번주 국정감사에 본격 돌입한다. 이번 국감은 7일부터 27일까지 실시된다. 대상기관은 672곳으로 지난해 보다 42곳이 늘어났다. 여야는 서둘러 종합상황실을 개설하는 등 국감대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여야는 올해 국감 준비기간이 촉박한 만큼 상당한 집중력이 요구된다. 야당은 미리부터 파상공세를 예고했고 여당은 곧바로 맞받아치며 서둘러 방어태세에 나섰다. 여야는 이번 국감을 통해 향후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싸움을 치열하게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정국을 거치며 야당은 여당에 사실상 완패를 당한만큼 이번 국감을 상당히 벼르고 있다. 반면 여당은 야당의 파상적인 대여공세를 방어하며 정책.민생국감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반격의 기회를 잡은 새정치연합은 주말에 모든 당력을 동원해 철저한 국감 대비책을 세우는 등 칼끝을 매섭게 겨누고 있다. 특히 박근혜 정부의 실정 파헤치고 견제하는 역할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지난 2일 정책위의장단 국감 대책회의를 열고 국감 전략을 논의했다. 정책위의장단은 이 자리에서 ▲세월호 사건 진상규명 및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박근혜정부의 반서민적 정책 저지 ▲권력기관의 헌정질서 문란행위 추궁 ▲이명박.박근혜정부의 실정 규명 등 4대 기조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여당은 야당의 파상공세를 막아내며 생산적인 국감을 만들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야당을 향해 정쟁국감이 아닌 정책국감에 동참할 것을 압박하기도 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늘 되풀이되고 있지만 폭로성 국감, 민생과 동떨어져 있는 정치싸움 절대 되풀이 되선 안된다"고 말했다.이어 "매년 과거의 퇴행과 구태들이 되풀이된다면 국민들 곧 폭발할 것이다. 이번 국감은 시간이 짧지만 민생국감, 정책국감이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은희 대변인 역시 "국정감사는 국민의 권한을 위임받은 국회가 행정부와 사법부의 지난 1년 성과를 감시하고 평가하며 잘못된 것은 시정하고 대책을 세우라는 국민의 명령으로, 정기국회의 꽃"이라며 "새누리당은 민생국감, 정책국감을 지향하며 이번 국정감사의 부실함이 없도록 한 치의 소홀함이 없이 감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여야의 정쟁 2라운드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국감의 최대 쟁점 포인트는 무엇일까.`세월호 침몰사고`가 첫손으로 꼽힌다. 세월호특별법 합의안에 대한 유가족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야당은 이 문제를 집중 부각시켜 박근혜 정부 비판과 멀어진 유가족의 마음을 되찾아 오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야당은 세월호 사고가 왜 참사로까지 이어졌는지 부각시켜 세월호 이슈를 다시 환기시키겠다는 방침이다.이를 위해 청와대를 상대로 세월호 사고 발생 직후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캐내겠다고 벼르고 있고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체포 과정에서 드러난 경찰과 검찰의 수사 허점에 대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해양경찰청 폐지, 국민안전처 신설 등 세월호 사고 후속 조치 성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 김현 의원의 대리기사 폭행 의혹 등을 부각시켜 방어태세를 공고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증세문제도 중요한 쟁점이 될 전망이다. 특히 담뱃값과 주민세, 자동차세 인상에 대해서는 서민증세 여부를 놓고 여야간 기싸움이 치열하다. 정부의 세금 정책에 대해 야당은 부자감세, 서민증세라고 주장하는 반면 여당은 정치공세에 불과하다고 맞서고 있어 국감에서 정면충돌이 불가피하다. 이밖에 재벌 총수의 증인 채택 문제, 공무원연금 개혁, 공기업 개혁, 4대강 사업 문제, 제2롯데월드 임시사용 승인 등도 주요 쟁점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