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0명 중 9명이 우리나라의 빈부 격차가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빈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세금을 현재보다 두 배 이상 내야 한다는 것에는 절반 이상이 반대를 하는 반면 부자들에게 두 배 이상 과세하자는 의견에는 2/3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갤럽은 지난달 23~25일 전국 만 19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빈부격차`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매우 심각하다` 56%, `어느 정도 심각하다` 30% 등으로 86%가 `심각하다`고 판단했다. 반면, 12%는 `별로 심각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나머지 2%는 모른다고 답했다. 앞서 우리나라 빈부격차에 대해서는 1985년 4월 응답자의 85%(조사인원 1205명)가 심각하다고 답했으며, `IMF 구제금융` 시기였던 1999년에도 그 비율이 93%(조사인원 1557명)로 나타나 지난 30년간 큰 변화는 없었다. 이와 함께 빈곤의 원인에 대해서는 `노력해도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대답이 65%, `자신의 노력 부족 때문에 가난한 경우가 더 많다`는 응답이 30%였으며, 나머지 5%는 대답을 거부했다. 빈곤의 원인이 사회적 환경이라고 답한 사람들 중 연령대별로는 19~29세 69%, 30대 70%, 40대 74%, 50대가 57%, 60세 이상 53% 등으로 20~40대가 빈곤의 원인이 `환경`에 있다고 보는 입장이 우세했다. 또 만약 빈부 격차를 줄이기 위해 세금을 현재보다 두 배 이상 내야 한다면 받아들이겠는가 하는 질문에 75%는 `받아들일 수 없다`, 22%는 `받아들이겠다`고 답했으며 3%는 대답을 유보했다. 반면 부자들에게 세금을 현재보다 두 배 이상 내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76%가 `찬성`을 했으며, 21%가 `반대`, 4%가 `모른다`고 답했다. 즉, 빈부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개인이 두 배 이상의 세금을 내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만, 부자들이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내는 것에는 찬성하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조사는 지난 9월23~25일(3일간) 전국 만19세 이상 휴대전화가입자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조사됐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