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7일 답보 상태인 남북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론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북한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 등 핵심 실세 3인방이 지난 4일 방남한 데 대해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실천방안에 대해선 온도차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성급한 기대보다는 남북대화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면서 남북 간에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필요하다"며 "북한 인사들의 방문을 환영하고 축하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앞으로 이번 남북접촉을 남북관계 발전의 계기로 만드는 것은 꾸준한 상호노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수석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도 밝혔지만 이번 고위급 접촉이 단발성 대화에 그치지 않고 평화통일의 길을 닦을 수 있기 위해서는 남북대화의 정례화가 필요할 것"이라며 "북한측 인사가 말했듯이 이번에 만든 오솔길이 대통로로 열리기 위해서는 남북대화가 정례적으로 열리고 인도적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부터 성사시키는 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남북관계는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라는 인내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진정성을 가지고 차근차근 풀어갈 때 상호 신뢰의 뿌리가 그 만큼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대북 5.24조치 즉각 해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근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정부의 대북강경조치 중의 하나인 5.24조치가 국내 민간기업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대북 진출의 기회를 가로 막고 있다"며 "2010년 천안함 침몰사건 이후 북한과의 교류협력을 중단한 5.24조치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간 대화의 물꼬가 트인 상황에서 5.24조치의 해제는 상호 신뢰구축과 대화재개의 신호가 될 수 있다"며 "남북관계에서도 타이밍이 있다. 지금이 그 때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도 대북진출의 기회를 선정하기 위해서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