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학생 대비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이 마침내 1%를 넘어섰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단일 혈통의 국가라고 말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외국인의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고, 국제결혼도 흔하다. 특히 농어촌에는 한 집 건너 다문화가정이 있을 정도로 세상이 바뀌고 있다.12일 국회 교육문화관광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이 국감자료에 의하면 올해 4월 기준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수는 6만7806명으로 전체 학생 633만3617명의 1.07%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보다 21.6%(1만2026명)이 증가한 수치다. 최근 3년간 연도별 다문화가정 학생은 2012년 4만6954명(전체 학생의 0.70%), 2013년 5만5780명(전체 학생의 0.86%), 2014년 6만7806명(전체 학생의 1.07%)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또 학교별로는 초등학생이 4만8297명)다문화가정 학생 전체의 71.2%), 중학생은 1만2525명(전체의 18.5%), 고등학생은 6984명(전체의 10.3%)로 나타났다. 현재의 초등생이 고교생이 될 때면 다문화 자녀란 말 자체가 어색해질 것이다. 이미 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사는 자치단체가 49곳이나 될 정도로 이주민이 급증했다. 중소기업은 물론 농촌과 어촌에서 외국인 노동자가 없으면 마비될 정도로 외국인노동자는 산업역군으로 자리잡았다. 다문화가정은 당당한 우리 국민이며 소중한 우리 이웃인 것이다.이런데도 심각한 인종차별이 존재한다는 유엔 특별보고관의 지적은 국가적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조사결과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이 한국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한해 적용하고 있을 뿐 이주노동자 간의 결혼은 배제하고 있고, 농어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열악한 환경에 놓였지만 무관심한 것도 지적했다. 또 외국인 노동자들이 직장을 바꾸는 게 더욱 어려워졌고, 퇴직금지급에 문제가 있음도 지적했다.실상 이 정도는 약과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8월 보도했듯이 한국이 인종을 차별이 상대적으로 가난한 아시아국가 출신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은 우리사회의 야만성을 드러낸 것이다. 방글라데시계 다문화 가정 어린이인 이스마엘 우딘(11)군이 학교에서 자주 폭행당하자 “고통 없이 죽는 방법을 알고 싶다”고 한 것에서 위정자들은 크게 반성해야 한다. 겉 치례의 보여주기 위한 다문화정책이 아니라 다문화가정의 든든한 보호막이 될 정책을 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