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정부의 사이버 검열 논란과 관련해 연일 난타전을 벌이고 있다. 16일 야권은 논란 확산에 군불을 지피며 이슈화에 주력하고 있는 반면 새누리당은 논란을 축소하기위해 올인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실상을 파악하고 반드시 정부의 책임을 묻겠다"며 "필요하면 국정조사, 청문회 실시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연일 사이버사찰 논란이 조지오웰의 1984를 떠올려주고 있다"며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말살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감시체제와 억압의 위험성을 경고했던 오웰의 염려가 정권에서 현실화되는건 아닌지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카카오톡, 네이버밴드, 네비게이션까지 사찰이 전방위적으로 포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외신도 경쟁하듯 이번 사태를 보도하고 표현의 자유가 보장이 안된다고 박근혜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광대역 LTE보다 더 빠른 검찰의 대통령 떠받들기"라며 "이제는 사람들이 모여서 귓속말까지 사찰하는 세상이 됐다. 대한민국 왜 이렇게 됐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비판했다.정의당 천호선 대표도 상무위원회에서 "이대로 간다면 대한민국은 오직 대통령 단 한 사람을 위해 모든 시민을 감시하는 디지털 독재국가로 전락할 것"이라며 "대통령이 결자해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야권을 향해 "근거 없는 의혹 제기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권은희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야당은 더 이상 근거 없는 의혹 제기 보다는 국민들의 불안감을 없애는데 함께 힘을 보태야 한다"며 "야당이 진정으로 우리나라 IT업계를 걱정한다면 이를 새로운 투쟁동력을 만들려는 정치적 공세로 활용해서는 안된다"고 공격했다. 권 대변인은 "우 원내대표의 말처럼 법률적으로 감청 영장은 실시간 모니터링을 의미한다하더라도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며 "영장만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되는 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확한 사실 확인을 먼저 해보기 바라며 국정감사 이후에도 우리 국회가 해야 할 일은 많다"면서 "내년도 예산안, 민생법안 처리 등 의미 있는 일에 국회가 집중하도록 힘을 모아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김현숙 원내대변인도 "국민의 인권과 개인정보를 볼모삼아 근거 없는 소문을 사실로 둔갑시키고 있는 제 1야당의 행태에 상당한 우려를 표한다"며 "야당은 현행법상의 정당한 영장 집행조차 권력남용으로 몰아세우고 다음카카오의 공동대표는 법원이 발부한 감청 영장 집행에 응하지 않겠다고 한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변인은 "계속 불필요한 논란이 확산되면서 광범위한 파장을 유발하고 있고, 국민들도 혼돈에 빠져들고 있다"며 "검찰과 경찰, 통신업계도 국민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도록 역량을 모아 사태를 본질적으로 극복하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