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20일 북한 경비정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해 교전을 벌인 사건과 관련, 우리 군이 북한 함정을 제대로 타격하지 못한 것과 우리 함정의 전투력 상실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방위사업청 등에 대한 국감에서 최윤희 합참의장의 현안보고를 받고 "수십발의 함포사격과 기관포 사격을 했는데 명중 안된 이유가 무엇이냐"며 "북한 경비정이 퇴각했다는 이유로 명중 여부가 확인 안됐다고 면피성으로 답하는것 아니냐"고 질타했다.같은당 윤후덕 의원도 "(우리 군이) 함포에서 사격을 하다 불발탄이 발생한 것을 나중에야 (군이) 시인했다. 축소보고 한 것이냐"며 "불발탄으로 함정이 완전 전투력을 상실했다. 문제가 있었다면 드러내고 함께 논의해 개선해야 한다"고 꼬집었다.새누리당 송영근 의원은 "육군에서 조준사격, 해군에서 격파사격, 공군에서 격추사격이라는 용어를 대응사격이라는 말로 통일했다. 대응사격이라는 것은 예하부대에서 (적에게) 겁만 주라는 것인지 직접 맞추라는 것인지 개념이 혼란스러워졌다"며 "이 문제를 검토해서 확실하게 지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대해 최 합참의장은 "지난해부터 `대응사격` 용어를 사용하도록 예규를 수정했다. 그 내용을 작전사까지 수정했는지 확인하지 못해 각군에서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우리 함포가 북한 경비정에 명중했는지 확인할 방법은 육안밖에 없는데 가시거리가 좋지 않았고 거리가 멀어 판단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 한기호 의원도 군의 입장을 옹호했다. 그는 "일반 소총도 100m 표적을 거의 맞추고 250m는 거의 놓친다. 기상 조건도 안좋은데 76㎜포도 고의로 안맞췄다는 것이 아니다"며 "모든 화기는 최악의 조건일 때 (기능고장이) 발생 안할 수 없는 것이다. 기능고장을 얼마나 잘 처리했냐가 중요한데 6분만에 한 것은 정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일 오전 9시50분께 북한 경비정 한 척이 연평도 서해 NLL 900m를 침범해 기관총으로 추정되는 화기로 수십발을 발사했고, 해군은 90여 발 대응사격을 하며 10여 분간 교전을 벌였다.이 과정에서 합참은 `대응사격`이라고 발표 했으나 해군은 `격파사격`이라고 설명해 국방위 국감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