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이 이뤄질 경우 환율절상 효과를 감안한 2050년 통일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약 8만4000달러 수준으로 높아져 G20(주요 20개국) 국가 가운데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통일준비위 경제분야 전문위원인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20일 통일준비위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최한 세미나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경제적 시너지의 원천`이라는 내용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예측했다.김 교수에 따르면 2014년부터 남북통합이 시작된다는 것을 가정했을 때 남한의 1인당 GDP는 ▲2015년 2만5896달러 ▲2030년 4만6671달러 ▲2050년 8만2421달러로 증가하고 연간 경제성장률도 ▲2015년 4.71% ▲2030년 3.63% ▲2050년 2.63%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또 북한의 경우 1인당 GDP가 ▲2015년 753달러 ▲2030년 5589달러 ▲2050년 5만7396달러로, 연간 경제성장률은 ▲2015년 11.42% ▲2030년 15.51% ▲2050년 9.55%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됐다.이에 따라 통일한국의 1인당 GDP는 ▲2015년 1만7452달러에서 ▲2030년 3만2760달러 ▲2050년 7만3747달러 수준으로 증가하고 연간 경제성장률은 ▲2015년 4.81% ▲2030년 4.35% ▲2050년 4.51%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이 같은 가정 하에 통일한국의 경제규모는 현재(2011년 기준) 남한 기준 15위 수준에서 ▲2030년 11위(GDP 2조8180억달러) ▲2050년 8위(GDP 6조5460억달러) 수준으로 뛰어오르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특히 G20 국가의 1인당 GDP를 비교했을 때 통일한국이 2030년에는 3만5718달러로 11위에서 2050년에 8만3808달러로 뛰어올라 호주(8만2937달러), 캐나다(8만1320달러), 프랑스(7만8876달러) 등을 제치고 미국(9만4264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또 통일을 하지 않았을 경우 남한의 1인당 GDP는 2050년에 6만2875달러에 그쳐 통일했을 경우 남한의 GDP에 비해 약 2만달러가 낮을 것으로 예측했다.김 교수는 통일이 남한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남북 분단 비용 해소로 인해)남한 사회의 자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이라며 "한국디스카운트가 사라지고 남한 사회의 갈등이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경제통합·통일로 인해 2015∼2050년 동안 한국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0.735∼0.806% 추가 성장할 것"이라며 "매년 정부가 최소 5조원의 재정 지출을 추가해야 달성 가능한 성장률"이라고 강조했다.또 통일 편익이 북한 주민의 사회안전망 지출에 사용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점진적 통일의 경우 이 지출액은 크지 않을 것이며 편익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준"이라면서 "급진적 통일의 경우에도 장기적으로는 편익이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강태영 포스코경영연구소 부사장은 `통일의 경제적 시너지 극대화 방안:경제계의 기여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2030년 통일 가정시)비용은 통일 이후 20년간 총 4000조원, 편익은 동기간 GDP 증대효과가 총 6000조원"이라며 "통일 편익이 비용에 비해 50% 이상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세미나에 앞서 제시한 토론자료를 통해 "통일은 통일한국뿐 아니라 주변국의 경제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북한지역이 장차 제2의 중국이나 베트남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경우 대외교역 및 외국인투자 활성화 등을 통해 경제적 편익이 주변국가들과 전 세계로 파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아울러 "통일 한반도 형성 및 역내 안보환경 개선에 따라 중국 동북3성 지역의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된다"며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FTA) 등 역내 경제통합 촉진을 위한 여건이 조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북한 전역을 `특별행정경제구`로 지정해 투자유망지역으로 개발할 것"을 제안하면서 "한국을 비롯해 중국 등 외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북한 경제개발에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밝혔다.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은 "전경련의 `북한경제개발 마스터플랜`은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가 모두 참여해 `윈-윈`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연구 중"이라며 "예를 들어 일본에도 실익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로 일본이 아시아대륙과 연결되는 `한·일 해저터널` 건설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