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안전행정부가 공무원연금 개혁 정부안 초안을 발표한 가운데 공무원들이 "정부가 공무원 단체를 배제하고 일방적으로 논의한 개혁안을 발표해 단체협약을 파기하고 사회적 합의를 무시했다"며 반발했다.전국공무원노조 조합원 등 300여명(주최 측 추산·경찰 추산 25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후문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이같이 비판했다.이날 결의대회에서는 이충재 공무원노조위원장과 각 지역·직능단체본부장 등 19명이 집단 삭발했다.이들은 "정부안에 따르면 재직 중인 공무원은 부담액이 최대 41% 늘어나고 급여액은 최대 34% 줄어든다"며 "신규공무원은 급여액이 45% 감소한다"고 비판했다.이어 "공무원연금은 고용주인 국가와 고용인인 공무원 사이의 근로계약으로 발생하는 비용"이라며 "노후소득보장기능만 갖고 있는 국민연금과 달리 공무원연금은 인건비의 일부분, 산재보상기능까지 포괄하는 특수성이 있지만 정부는 이를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또 "외국의 경우 공무원연금과 같은 특수직역연금 개혁을 진행할 때 사회적 합의 절차를 밟았다"며 "영국은 지역 주민과 공무원을 포함한 이해 당사자들로 연금위원회를 구성해 5년여의 합의 기간을 거쳤고, 스웨덴도 노조 등 당사자들과의 긴밀한 소통으로 법안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이 위원장은 "전문가들도 개악안에 문제가 많다고 해서 무덤 속에 묻었는데 다시 정부가 땅을 파서 관 속에 있는 시체를 꺼낸 셈"이라며 "포장만 바꾼 개혁안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어 "국내총생산(GDP)대비 공무원연금 정부 부담률은 한국이 0.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가장 낮다"며 "정부가 돈이 없다고 하면서 공무원연금을 줄이려고 하는데, 정부가 정말 돈이 없느냐"고 비판했다.양성윤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은 "공공기관 부채 원인은 모든 기관에서 행하고 있는 낙하산 인사 때문"이라며 "4대강 등 정책 실패도 그 원인인데 모든 책임을 공공기관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앞서 안행부는 재직 공무원의 연금 납입액을 최대 41% 올리고 수령액은 34% 깎는 내용의 공무원 연금 개혁안을 공개했다. 개혁안에는 연금 수급자에게 최대 3%의 재정 안정화 기여금을 내도록 하고 평균 연금액의 2배 이상을 받는 고액 연금자의 연금을 10년간 동결하는 방안도 담았다.또 2016년 이후 신규자는 납입과 수령액이 국민연금과 같아지고 은퇴자는 수령액이 줄고 연간 상승률도 내려간다. 고액수령자는 2016년부터 2025년까지 10년간 연금이 동결된다.안행부는 2016년부터 이 개혁안을 적용할 경우 연금 적자를 메우기 위한 보전금을 박근혜 정부 임기 내에 현재의 53% 수준인 4조2000억원, 2027년까지는 모두 22조1000억원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