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토마스 바흐(61·독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한 마디가 한반도를 발칵 뒤집어놓았다. “8-9일 열리는 IOC 총회에서 ‘어젠다 2020’이 확정되면 비용 절감을 위해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분산 개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언급한 때문이었다. 지난해 9월 IOC 위원장으로 선출된 이후 강력한 개혁 의지를 보여온 바흐 위원장은 올림픽 복수 국가·도시 개최안이 담긴 ‘어젠다 2020’을 발표했고 8일 밤 모나코에서 열린 제127차 IOC 임시총회에서 개최안은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분산 개최가 가능해지면서 평창올림픽은 12월 내내 국내외에서 ‘뜨거운 감자’였다. 더불어 평창올림픽과 관련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대회 위기론 또한 확산됐다. 정말로 다사다난했던 갑오년 한 해가 지나고 을미년 새해가 다가왔다. 내년 3월이면 분산 개최 여부가 판가름난다.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논란으로 불거진 위기론은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와 강원도, 정부 등 관련 부처들이 의기투합하고 머리를 맞대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이번 논란은 우리 내부의 잡음과 아직까지도 지지부진한 준비가 결정적인 빌미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바흐 위원장의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거론이 자신이 내건 개혁안을 조속히 눈으로 확인시키기 위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저 우리가 위기감을 느끼는데서 끝난다면 또다시 똑같은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논란이 불거지기 이전에 대회를 둘러싼 잡음은 끊임없이 계속 됐다. 특히 강원도가 개·폐회식장 건립 비용 문제를 놓고 중앙정부와 줄다리기를 벌이다가 개최권 반납도 불사하겠다며 강경하게 나서 한바탕 소동이 일었다. 그뒤 얼마 되지 않아 IOC 총회가 열렸다. 바흐 위원장의 ‘평창 발언’은 대회 개최 비용을 둘러싼 잡음과 맞물려 평창올림픽의 분산 개최를 높게 점치는 외신들의 보도로 이어졌다. 평창올림픽 이후 시설물 활용 방안이 미흡한 것 또한 IOC의 분산 개최 움직임에 한 몫을 했다. 슬라이딩 센터의 공정률이 10%가 넘어갔음에도 썰매 종목이 분산 개최 대상으로 주요하게 거론된 것은 썰매 경기장의 사후 활용 방안이 가장 미흡한 탓이 크다. 내부의 불협화음이 분산 개최 논란에 불을 지핀 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기투합하지 않으면 더 큰 위기를 맞게 될 뿐이다.분산 개최 논란이 불거진 후 조직위와 강원도는 모두 “불가능하다”며 강력히 반대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나서서 “분산개최 논의는 의미가 없다”고 잘라 말하기도 했다.마음이 모였으니 이제 머리를 맞댈 차례다.김희준 뉴시스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