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발생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오류 등으로 인해 수험생 10명 중 7명은 `쉬운 수능`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업체 진학사는 지난해 12월30일부터 올해 1월5일까지 2015학년도 수능 응시생을 포함한 진학사 회원 1637명을 대상으로 `수능 제도 개선`에 관한 온라인 설문 결과 응답자의 73%가 `정부의 쉬운 수능 기조에 반대한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쉬운 수능 기조에 반대한다고 답한 응답자를 모의고사 성적대별로 살펴보면 1~2등급의 학생들은 81%, 3~4등급은 72%, 5등급 이하는 65%로 성적이 높을수록 쉬운 수능에 반대한다는 비율이 높았다.쉬운 수능을 반대하는 이유는 `변별력이 없어서`가 전체의 58%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또 `학업분위기 악화 등 손해`라는 응답도 24%에 달하는 등 응답자의 82%가 정당한 노력에 대한 보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쉬운 수능을 찬성하는 이유로는 전체의 30%가 `학업 스트레스가 줄어든다`를 선택했다. 이어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어서(27%)`, `학교 중심의 교육이 강화되서(24%)`, `사교육 비용부담이 줄어들어서(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능 영어 절대평가 시행에 관한 질문에는 찬성이 44%, 반대가 56%로 반대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영어 절대평가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응답자의 57%가 `시험에 대한 부담 없이 영어를 좀 더 실용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반대하는 이유로는 `수능에서 영어의 영향력 감소 및 변별력 하락` (38%)에 따라 `국어, 수학 등 다른 과목에 대한 학습부담 증가`(40%) 라는 소위 `풍선효과`를 우려한 것으로 분석됐다.수능 개편 방식에 대한 질문에는 `1년에 2회를 실시해 더 잘나온 성적을 반영`이 4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수능 등 국가시험 없이 대학이 자체기준으로 선발(24%)`, `수능의 자격고사화(22%)`,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 도입(1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수능시험제도가 당일 컨디션에 따라 대학의 당락을 가르는 다소 잔인한 방식이라는 시험제도에 대한 거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마지막으로 EBS교재 수능 연계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현재 70% 연계율을 유지(26%)하거나 늘려야 한다(9%)는 응답이 35%인 반면, 폐지하거나(32%) 현재보다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65%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진학사 황성환 기획조정실장은 "정부는 사교육 감소와 공교육 강화를 목적으로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하고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을 발표했지만 정작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은 반대하는 목소리가 더 높았다"며 "현장의 의견을 담지 않은 제도 개선안은 미봉책에 그칠 수 있는만큼 현실적인 수능 제도 개선안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지우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