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산하기관에 공무원 출신 인사를 임명하는 사례를 줄이고 기관을 통폐합하는 등 공공기관을 개혁하기로 했으나 입타령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북도는 최근 재단법인 경북도경제진흥원의 원장에 도의회 사무처장을 지낸 이태암씨를 임명했다. 이 원장은 도의회 사무처장에서 곧바로 자리를 옮겨 5일부터 3년 임기의 경북도경제진흥원장 업무에 들어갔다. 도는 앞서 지난해 10월에도 경북도청소년진흥원장에 공무원 출신인 윤정길씨를 선임했다.윤 원장은 9월 중순께 도 환경산림국장에서 퇴임한 직후에 자리를 옮겼다.이 원장이나 윤 원장은 해당 기관의 원장 공모 단계에서부터 이미 내정됐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도는 지난해 9월에 경북행복재단 대표이사에 편창범 전 도 기획관을 선임했고 경북도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에 김상운 전 도의회 전문수석위원을 뽑았다.김관용 도지사가 지난해 6월 3선에 당선된 이후에 도 산하 기관장이나 고위직에 공무원을 임명한 사례가 4건에 이른다. 도는 민선 3기가 출범한 이후 출자·출연기관 33곳 가운데 공무원 출신 인사를 임명할 수 있는 공공관리형기관을 16곳으로 정했다. 4명의 공무원 출신 인사가 대표를 맡은 기관은 모두 공무원 출신이 갈 수 있는 공공관리형에 해당한다. 그러나 공공관리형이라고 하더라도 대놓고 공무원 출신을 앉힌 데 대해 비판하는 목소리도 크다. 낙하산 인사를 줄이겠다는 김관용 도지사의 약속이 별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1월에 새로 뽑는 경북개발공사 사장에도 벌써 공무원 출신 인사가 내정됐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도는 외부의 따가운 시선을 의식한 듯 외부 인사를 대표로 임명할 때는 홍보자료를 내면서도 공무원 출신 인사를 기용할 때는 홍보자료를 내지 않는 등 쉬쉬하는 분위기다.이뿐만 아니라 경북도는 민선 3기 시작과 함께 새출발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33개의 출자·출연기관을 27개로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도는 경북테크노파크, 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그린카부품연구원, 천연염색산업연구원 등 4개 기관을 통합해 경북테크노파크를 출범시키기로 했을 뿐 다른 주요 기관의 통폐합에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경북테크노파크 역시 대표 명칭만 원장에서 센터장으로 바뀔 뿐이어서 구조조정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산하기관을 개혁하겠다는 도의 방침이 무색해진 셈이다.도 관계자는 "공무원 출신 인사라고 해서 산하기관장 임명에서 무조건 배제하는 것은 역차별일 수도 있다"며 "효율성만 따질 수 없는 기관에는 오히려 공무원 출신 인사가 더 적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경북행복재단과 경북장학회를 합쳐 경북복지개발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북문화재단 설립은 장기 과제여서 타당성 연구조사를 거치려고 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