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른바 `열정 페이` 논란을 불러일으킨 부당 노동관행을 바로잡겠다고 나선 가운데 이번 주 안에 조사대상 업체를 확정하기로 했다.고용노동부는 광역 근로감독팀을 보유하고 있는 지방 6개 고용노동관서와 합동으로 청년인턴 부당고용행위에 대한 수시감독 대상과 사업장을 이번 주 안으로 선별해 본격적인 근로감독에 나설 방침이라고 12일 밝혔다.열정(熱情) 페이(pay)란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배움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구실로 청년들을 거의 공짜로 부려 먹으면서 모집 공고에는 "당신의 열정을 사겠다"는 식의 명분을 내거는 것을 풍자한 신조어다.최근 유명 패션디자이너의 숍에서 수습 10만원, 인턴 30만원, 정규직 110만원의 급여를 주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고 소셜커머스업체인 `위메프`도 수습사원을 채용해 정규직에 준하는 업무를 시킨 후 전원 해고해 논란이 일었다.많은 청년들이 이력서에 경력 한 줄 더 쓰기 위해 고군분투하는데 일부 업계에서 이들의 절박한 처지를 악용해 자원봉사식 노동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얼마 전 편의점 아르바이트 모집 공고에서도 열정페이를 강요한 사례가 나타나 지탄을 받기도 했다.노동부는 지방청과 논의 후 감독 대상 업종과 업체를 정하기로 했다. 논란의 중심에 선 패션업계를 중심으로 이미용 업체와 조리, 식품, 제빵업체 등 100여개 이상 업체가 포함될 전망이다. 위메프의 경우 이미 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노동부 관계자는 "위메프에 대해서는 직원 모집과 채용과정에서 법 위반 사항이 있었는지, 임금이 제대로 지급됐는지 여부를 조사했다"며 "금주 안에 노동력 착취를 지적받은 패션디자이너 등 도제식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업종을 중심으로 감독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