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는 안동문화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을 유네스코 3대 카테고리에 이름을 올려 안동문화의 다양성을 널리 알리고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21세기 세방화시대의 주역으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안동은 ‘안동문화권(安東文化圈)’, ‘안동학(安東學)’, ‘한국정신문화의 수도’ 등으로 불리며 다른 어느 곳에서도 느낄 수 없는 지적인 엄숙성을 지닌 묵향 그윽한 영남학맥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돼 “안동”이란 지명이 곧 고품격 브랜드가 되고 있다.안동시는 하회마을이 2010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고, 유교문화를 상징하는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그리고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봉정사까지 세계유산에 등재를 추진하고,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교책판은 세계기록유산으로,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해 명실상부한 세계역사도시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아래 안동문화의 세계화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의 서원’은 생명과 평화, 소통과 화합, 나눔과 배려의 정신을 바탕으로 선비들의 교육적 이상을 실천하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겸손과 절제를 추구하는 선비정신과 자연과 더불어 심신을 단련하고 수양하며 학문연구를 통해 인류애를 실천하고자 한 자아 성찰과 자기 고뇌의 산실이다. 이러한 서원이 지닌 가치는 시대가 바뀌어도 끊어지지 않고 선비들의 학문적 전통이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는 세계적인 유산이다. 올해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중차대한 해로 지난 3년 동안 착실하게 준비한 등재신청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1월말까지 제출되고, 이를 바탕으로 오는 6월에서 9월 사이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전문가의 현장실사를 받게 되는 매우 바쁜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모든 것이 순조롭게 통과되면 내년 6월경 개최되는 제40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를 확정짓게 된다. 한편 등재대상인 서원은 안동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을 포함해서 도동서원(달성), 남계서원(함양), 소수서원(영주), 옥산서원(경주), 필암서원(장성), 무성서원(정읍), 돈암서원(논산) 등 9개 서원이다.안동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봉정사는 부석사(영주)와 법주사(보은), 마곡사(공주), 대흥사(해남), 선암사(순천), 통도사(양산) 등과 함께 ‘한국의 전통산사’로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또한 한국국학진흥원이 지난 2001년 말부터 목판 수집운동을 벌여 모은 것 중에서 문중으로부터 위탁받아 소장 중인 ‘유교책판’ 64,226장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를 앞두고 있다. 유교책판은 이미 지난해 3월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서가 유네스코에 제출돼 전문가의 검토를 마쳤고, 오는 5월말 경에 독일에서 열릴 예정인 “세계기록유산국제자문위원회의”에서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특히 안동을 대표하는 무형유산인 하회별신굿탈놀이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탈과 탈놀이는 세계 보편적 문화도구이며, 인류가 가꿔 온 상징물의 결집체라 할 수 있어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위시한 한국의 탈춤이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하게 된다면 안동은 세계탈문화의 중심이 되고 세계탈문화예술연맹 창립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안동시관계자는 “도산서원, 병산서원과 봉정사의 세계유산 등재, 한국국학진흥원의 유교책판 세계기록유산 등재,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완성하게 되면 유네스코가 가지고 있는 3개 카테고리인 ‘세계유산’과 ‘세계기록유산’, ‘인류무형유산’을 모두 보유하게 되는 유일한 도시가 될 것이라고 하며 이는 안동문화의 다양성과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