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설 명절을 앞두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 상품권 판촉에 나섰다. 권영진 대구시장을 비롯한 지역 기관·단체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온누리상품권 구매 촉진 행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홍보 활동에 돌입한다. 벌써 판촉 첫날에 상품권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약정을 체결하기로 결정한 지역내 기관단체와 공기업이 수두룩하다. 대구공무원노조가 솔선수범해 10억 원 약정 계획이고 대구은행 2억원, 대구혁신도시로 이전한 한국가스공사가 1억 원 등 10여개에 이르고 있어서 올해도 온누리상품권이 쉽게 동이 날 것 같은 느낌이다.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2009년부터 도입한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보호와 지역 상공인 지원을 위한 제도다. 해마다 큰 성원을 받고 있는 형편이지만 개선점도 없지 않다. 최근에는 애초 의도와 달리 전통시장 상품보다 주로 외국산 제품이 혜택을 받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온누리상품권을 쓸 수 있도록 개설한 온라인쇼핑몰에 외국산 제품이 넘쳐나고 있다고 하니 제도를 보완하여 막아야 한다.뿐만 아니라 온누리상품권을 전통시장에서 쓰지 않고 인터넷에서 되팔아 현금화하는 이른바 ‘상품권 깡’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의심스러우면 설 명절에 인터넷 중고카페에 들어가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수천건에 달했다는 보도가 있다. 회사에서 명절보너스로 지급한 온누리상품권을 현금으로 바꿔 쓰는 직원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장사보다 환전으로 재미 보는 상인들도 있다. 일부 상인들이 구매가의 10%를 깎아주는 할인 제도를 이용해 온누리상품권을 대량 사들인 뒤 제값을 받고 되팔아 수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취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상품거래 없이 환전이익을 챙기는 수단으로 온라인상품권을 악용한 것이다. 대형 지하상가, 상점가의 대형 프랜차이즈가 온누리 상품권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을 부진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전통시장 상인들도 “온누리상품권이 그렇게 많이 팔렸다는 게 상상이 안 된다”고 한다. 가맹점의 규모를 제한하던가, 등록기준을 세분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전통시장과 온누리상품권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강화로 많은 시민들이 참여토록 하되, 사후에 전통시장별로 실적을 공개하는 등 사후홍보에도 관심을 가져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