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일대 아파트의 장애인 주차구역이 제구실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에는 단속이 없는 틈을 타 관공서의 장애인 주차구역도 일반차량이 버젓이 주차돼 있는 실정이다.24일 오후 5시 14분께 대구시청 앞 주차장은 주말마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 빈 공간이 없었다. 심지어 사이드브레이크를 푼 채 이중주차를 한 차량도 곳곳에서 보였다.이런 이유로 차량이 다닐 수 공간이 좁아 주차장에서 나오려는 차량이나 들어가려는 차량 모두가 심한 정체를 보이고 있었다.문제는 이처럼 차량의 주차공간이 없다보니 버젓이 장애인 주차구역도 일반차량의 주차공간으로 돼버렸다는 것이다.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주차장 입·출구 바로 앞에 마련된 장애인 주차구역은 총 3대가 주차할 수 있었지만 이 중 2대가 장애인 차량이고 다른 한 대는 일반차량이었다.2시간여동안 지켜본 결과 단속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차량은 이날 오후 8시 29분께 주차장을 빠져나갔다.장애인 주차구역이 의무화 돼 있는 아파트 일대도 장애인 주차구역에 관한 단속은 이뤄지지 않았다. 아예 한 개 층만 장애인 주차구역이 마련돼 있고 다른 층에는 주차구역이 없는 곳도 있었다.이날 오후 11시 14분께 중구 남산동의 G아파트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지하 1층 현관 바로 앞에 한 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장애인 주차구역이 마련돼 있었다. 그러나 주차돼 있는 차량에는 장애인 주차구역 이용 시 의무적으로 보이게 해야 할 장애인자동차 표지가 보이지 않았다. 이 아파트의 경우 지하 2층에는 아예 장애인 주차구역을 만들지 않았다.이 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 L씨는 “장애를 갖고 태어난 것도 억울한데 정부가 지정한 법률이 있음에도 돈 많은 집을 우선으로 주차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이 아파트의 현 실태다”며 “부녀회에다가도 이야기를 했지만 아직까지 그저 쉬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지난해 국회입법조사처의 ‘장애인주차장 주차위반 및 과태료 부과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울은 2011년 4195건으로 전체의 34.4%를 기록하며 부과 건수가 가장 많았으나 2013년 1만4820건으로 28%를 기록했고, 울산, 대구, 충북, 대전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 같은 단속과 관련, 단속집중 기간 등으로 이뤄진 단속이며 실제로는 몇 배에 이르는 양체족들이 단속이 없는 주말 등을 이용해 장애인 주차시설을 이용한다고 했다.한국교통장애인대구협회 관계자는 “장애인의 편의증진을 위해 정부가 다양한 계획들을 내놓고 있지만 실제로 지켜지는 경우는 드물다”며 “공무원을 대표하는 대구시청 주차장에서조차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장애인 주치시설의 무분별한 이용이 그것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