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 해 동안 국립공원을 찾은 탐방객이 전년보다 50만명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25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1개 국립공원을 찾은 탐방객 수는 전년 대비 52만명(1.1%) 감소한 4640만명으로 집계됐다.공단은 국립공원 방문객이 감소한 이유로 ▲세월호 사고 여파에 따른 야외 외출 감소 ▲전년 대비 강우일수 증가 또는 폭설로 인한 탐방객 출입통제 일수 증가 ▲조류독감 발생에 따른 공원내 행사 취소 등을 꼽았다. 실제 세월호 사고 발생 전인 지난해 1월부터 4월까지 국립공원 방문객 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 증가했으나, 사고 이후 5월부터 12월 동안 방문객 수는 전년 대비 5% 감소했다.월출산의 경우에는 조류독감으로 가을에 열리는 `왕인박사 유적지 국화축제`가 취소되면서 탐방객이 전년 대비 15.5%가 줄었다.탐방객이 가장 많은 국립공원은 북한산(728만명)이며, 한려해상(616만명), 무등산(381만명), 설악산(362만명), 경주(319만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계절별로 보면 가을, 여름, 봄, 겨울 순으로 붐볐다. 단풍이 유명한 내장산은 가을이 타계절에 비해 유독 높았고 해상공원 중 한려해상과 태안해안은 여름철 탐방객이 가장 많았다. 덕유산은 무주리조트와 설경 덕분에 겨울철 방문객이 가장 많았다. 한편 지난해 국립공원 방문 외국인은 103만명으로 조사됐다. 영어권 41만명(39.8%), 중국어권 41만명(39.7%), 일본어권 12만명(11.5%) 등으로 분포했다.국립공원별로 보면 설악산 41만명(39.6%), 경주 26만명(25.4%), 한라산 20만명(19.1%), 내장산 5만명(5.0%) 순으로 인기가 높았다.공단 관계자는 "국립공원 탐방객이 2010년부터 4000만명을 넘어섰고 계속 증가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다소 주춤했다"며 "올해는 다시 회복세로 돌아서 탐방객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