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국방부에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내는 등 군공항(K2) 이전에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국방부는 대구시의 이전 건의를 놓고 재원 조달 계획과 시행 방안 등 타당성을 평가할 예정이다.대구시는 기존 비행장 터에 상주인구 5만여명 안팎의 새도시를 만들어 분양해 이전 비용을 마련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군공항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군공항을 옮겨갈 터 선정과 비용 마련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대구 군공항(K2) 이전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대구시는 지난해 5월 30일 국방부에 ‘대구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제출했다. 2025년까지 1454만㎡(440만평) 크기의 대체 군공항을 제공하는 대신 661만㎡ 크기의 대구 군공항(K2) 터를 돌려받아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사업에는 모두 3조50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대구시는 내다보고 있다. 기존의 군공항 터에는 주거시설과 상업시설, 문화시설이 함께 있는 복합 새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다. 상주인구 5만명, 유동인구 30만명 규모다.그러나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체 부지는 물론 이전 비용 마련 등 풀어야 할 문제들도 있다. 대구 군공항의 대체 부지를 찾기가 쉽지 않고 군공항이 이전되면 군공항 활주로를 빌려 쓰는 민간공항인 대구공항도 다른 곳으로 옮겨가야 한다. 대구시는 남부권 신공항이 지어지면 대구공항을 그곳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땅값이 비싼 수도권과 달리 대구는 종전 부지 분양 등을 통해 이전 비용을 마련하는 것이 만만치 않다"며 "이전 후보지 주민 설득이 필요하므로 해당 지역 주민에 대해 국가가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