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방사능 등 위해요소의 선제적인 차단을 위해 국내산 수산물의 안전관리를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해양수산부는 최근 농림수산식품부와 공동으로 개최한 농수산물품질관리심의회에서 `2015년도 국내산 수산물의 안전성조사 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정부는 생산단계에서 중금속, 방사능 오염 수산물 등 부적합 수산물이 유통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고,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공급하기 위해 매년 국내산 수산물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올해는 방사능, 항생제 등 위해요소의 사전 차단과 안전관리에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한 분야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조사건수는 지난해 대비 약 5% 증가한 1만1170건으로 계획하고 있다.조사 대상은 고등어·명태·갈치·넙치·오징어 등 다소비 대중성 품종, 최근 3년 동안 부적합 발생 이력이 있는 품종 등 특별관리 대상 수산물과 오염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생산된 수산물 등이다.특히 일본 원전 사태 이후 수산식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 우려를 감안, 우리 해역이나 원양에서 어획되는 수산물 중에서 방사능 오염 우려 품종에 대한 조사도 지난해보다 강화해 실시할 예정이다.상어류에 대한 중금속 조사, 신종 유해물질 및 패류독소에 대한 상시 감시와 비식용 가리비 패각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신현석 해수부 어촌양식정책과장은 "안전성 조사를 통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국민들이 우리 수산물을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안전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