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소각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경북 안동과 전남 나주, 신안으로 나타났다. 29일 산림청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소각산불 대응을 위해 최근 10년간 산불발생 지역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안동 36건, 나주 25건, 신안지역에서 22건의 소각산불이 각각 발생했다. 소각산불은 농산폐기물이나 논·밭두렁을 태우다 산불로 번진 것을 말한다.이 지역은 재배작물, 귀농 등 소각 관련 고정적 요인에도 포괄적인 대응으로 소각산불이 반복해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빅데이터 분석결과로 나온 전국 23개 시·군을 소각산불 특별 관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고 산불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지시했다.대책에는 기동단속, 과태료 부과, 농정·환경부서와 협업체계 구축, 조례 제정 등 행정지원 계획까지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포함돼 있다.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근거로 현행 소각 금지기간(3월 20일∼4월 20일)도 19일 연장해 3월 1일부터 앞당겨 시행하기로 했다. 해당 기간에는 마을단위 공동소각이나 개별 불놓기 허가요청에 따른 승인도 모두 허락하지 않을 방침이다. 김용하 차장은 "과학적 산림재해 방지 체계 강화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선택과 집중 대응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각산불 특별대책을 시행하게 됐다"고 밝혔다.이와 관련, 산림청은 산불 발생의 주원인인 불법소각을 막기 위해 지난해 처음 `소각산불 없는 녹색마을 만들기`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사업에는 전국 1만5천여 마을이 서약했으며 모두 100개 마을이 우수 녹색마을로 선정됐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