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임시국회 회기가 1주일도 채 남지 않았지만 끝까지 정쟁으로 치달을 우려가 높다. 정치권은 상임위활동과 이완구 국무총리를 상대로 대정부질문(25-27일)을 벌이는 한편 여야는 설 연휴 직전 내정된 국토해양부·해양수산부·통일부 장관과 금융위원장 후보자와 박상옥 대법관 후보자를 상대로 인사청문회 공방을 이어 갈 예정이지만 순탄할 것 같지 않다.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안들 및 공무원연금 개혁 관련 법안이라도 신속히 처리해 달라고 호소했고 23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는 “우리 경제가 불쌍하다”고 말하기 까지 하면서 정치권의 조속한 입법조치를 촉구했다. 그러나 연말정산 파문과 담뱃값 인상, 증세 없는 복지 논쟁에 이어 이완구 총리 인사 논란으로 두 달 가까이 허송세월하면서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한 정치권이 이제부터라도 정신을 차릴지 분명치 않다.김영우 수석대변인은 22일 브리핑에서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이들 법안을 신속히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25일 국회에서 첫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남은 임시국회에서 경제 활성화 법안 처리에 강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는 입장이지만 상대역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입장은 또 다르다.새정치연합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관광진흥법, 의료법 등 5개 법안은 투기 조장 및 의료민영화 우려가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강기정 정책위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국민과 국가가 망하는 법이자 우리 경제를 죽이는 법으로 절대 통과시킬 수 없다”며 일전을 예고했다. 대신 △평균 임금 50%를 올려주는 최저임금법 △안심 보육 및 보육교사 처우 개선을 위한 영유아보육법 △상가임대차보호법 등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올해가 경제살리기의 골든타임이라는데 여야가 공감하면서도 천금같은 시간을 계속 허비, 현안들을 6월 국회로 넘길 태세다.국회는 설 연휴기간 정치권에 대한 불신과 경제에 대한 깊은 우려를 읽었을 것이다. 따라서 남은 회기동안 김영란법·서비스발전기본법·의료법개정 등은 반드시 처리해 주길 요망한다. 내년의 총선을 의식해서라도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