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에 화장장 등 장사시설 부족한데도 시 당국은 대책마련의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대구의 화장률이 80%에 육박하고 있음에 비하면 대구시의 안일한 자세는 비난받아 마땅하다.대구시가 운영하는 화장장(일명 명복공원)은 건립된지 48년이나 지났지만 제때 보수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탓으로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았다. 게다가 시설부족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데도 10년째 시설확장을 하지 못해 늘어나는 화장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의 2006년 화장률은 56.3%에 불과했지만 2013년에는 76%로 급증해 화장장의 처리능력을 넘어 올해 들어 더욱 심각한 상태다. 시설부족으로 화장을 제때하지 못하게 되자 본의아니게 4일-5일장을 하는 경우까지 생기고 있다하니 예삿일이 아니다. 대구 화장장을 이용하는 사람의 1/5 이상이 경북 도민인만큼 대구인근에 ‘공동 화장장’을 짓자는 논의도 몇차례 진행됐지만 번번히 무산됐다. 장화식 명복공원 소장에 따르면 지금도 우리가 여러 가지 협의를 해봤습니다만 이웃 시군에서는 반응이 별로 없다고 한다. 이유는 지역 주민들이 반대 때문이다. 화장장을 이용하기는 해도 내가 사는 지역에 기피시설이 들어 오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는 전형적인 님비현상이다.화장사례가 증가하면서 시설도 포화상태다. 대구시 공설 봉안당(경북 칠곡군 지천면 낙산리 산167 소재)은 이미 만장상태로 국가유공자와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적 약자를 제외한 일반시민의 사용을 조례로 제한하고 있다. 결국 대구시민들은 가격이 비싼 민간 봉안시설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대구시는 봉안시설 신설이나 기존 시설 증축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있으니 답답한 일이다.보건복지부 전망에 따르면 2013년 대구시의 부족 봉안시설은 735기에 불과했지만 2014년 4130기, 2015년 7851기로 급증하고, 2019년이면 2만5996기나 부족해 봉안시설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욱 난감한 것은 당분간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화장시설이 제때 확충되지 않으면 화장대란이 현실화할 수 있다. 대구시가 나서서 합리적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정부도 화장시설 건립을 자치단체에만 맡겨둘 것이 아니라 적극 지원해야 한다. 아울러 사설화장시설허가 등에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를 보일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