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원이 투입돼 재 개관한 대구시민회관이 대구시의 미숙한 정책적 판단으로 인해 세금을 축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특히 대구시의회가 이 문제를 집중 검증할 것으로 알려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대구시민회관은 사업비 559억원을 들여 지난 2013년 11월에 재개관했다. 1975년에 개관한 대구시민회관은 리노베이션(기존 건축물을 헐지 않고 개·보수해 사용하는 것)을 위해 지난 2009년 11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대구시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공사비 499억원 중 국비 20억원과 시비 20억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캠코가 부담하고 20년간 상업시설을 임대해 얻는 수익으로 공사비를 회수해 예산부담 없이 문화시설을 건립한다고 홍보했다.하지만 재개관 1년이 지나자 대구시의 홍보는 거짓(?)이 되고 있다. 당초 499억원이던 공사비는 559억원으로 60억원이나 늘어났다. 또 예산투입은 없다고 했지만 준공 1년 전부터 3년 동안 캠코에 129억원을 지급하고 준공 후 20년 동안 매년 6억원씩 120억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여기에다 대구시는 캠코에 전체 건축원가의 4%를 개발수수료로 지급하고 매년 전체 재산가액을 산정해 0.33%를 관리수수료, 위탁기간 20년 동안 초과수익이 발생하면 결산 후 수익의 40%를 지급해야 한다.당초 대구시가 공사비의 대부분을 캠코가 지불하고 20년 동안 상업시설 임대수익을 통해 건축비를 회수한다고 시민들에게 밝힌 것은 결과적으로 거짓말이 됐다.상업시설 운용 수익에 대한 위험부담을 사업자인 캠코가 아닌 대구시로 100% 귀속, 매년 6억원의 임대수익이 나지 않을 경우 이를 대구시가 고스란히 캠코에 물어주도록 계약됐다. 대구시는 연간 임대수입을 25억원으로 책정했지만 1년 4개월이 지나도록 상업시설의 임대수입은 전혀 없다. 이같은 조건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임대수익으로 충당해야하는 개발원리금 223억원과 캠코의 상업시설 수익보장분 연간 6억원은 대구시가 물어야할 형펀이다. 특히 대구시는 이런 황당한 사업계획안을 지난 2010년 4월 외부인이 단 1명도 없는 시정조정위원회를 열어 일사천리로 승인한 것으로 확인됐다.대구시의 황당한 정책집행은 물론 대구시 정책을 검증하고 부실한 행정집행을 견제해야 할 대구시의회가 본연의 의무를 망각했다는 비난 속에 대구시의회가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주목된다. 대구시의회 임인환 의원은 오는 23일 있을 제232회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대구시의 행정신뢰도 추락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의 굴욕적 계약 체결 이유, 깡통임대를 개선하기 위한 상가임대 활성화 대책 등을 따질 예정이다.